[하비엔뉴스 = 송현섭 기자] 신창재 교보생명 대표이사 겸 이사회 의장은 20일 안중근의사기념관에서 열린 ‘2023 윤경ESG포럼 CEO 서약식’에서 적극적인 윤리경영을 통한 이해관계자와의 성장을 강조했다.
한국을 대표하는 기업 CEO와 기관·학계 관계자들이 모인 자리에서 신 의장은 기조연설에 나서 윤리경영에 대한 남다른 소신을 밝혔다. 윤경ESG포럼은 산업통산자원부 산하 산업정책연구원(IPS)에서 주관하는 국내 대표 민간포럼이다.
![]() |
20일 서울 중구 안중근의사기념관에서 열린 ‘2023 윤경ESG포럼 CEO 서약식’에서 신창재 교보생명 대표이사 겸 이사회 의장이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교보생명] |
윤리경영 확산과 윤리적 기업문화 정착을 도모하기 위해 지난 2003년 산·학·연 다자간 모임으로 발족했고 최근 ESG경영 실천과 확산에 힘쓰고 있다. 신 의장의 이번 기조연설은 윤경ESG포럼 20주년을 맞아 지난 20여년간 보험업계 대표 CEO로 교보생명의 윤리경영을 선도해온 독창적인 경영철학을 듣고 싶다는 회원들의 요청에 따라 이뤄졌다.
올해 포럼은 ‘기업가여, CEO(Chief Ethics Offier)가 되라’라는 부제를 걸고 열렸다. 기조연설에 나선 신 의장은 지난 2000년 대표이사 취임 당시 업계의 부실계약 관행으로 어려웠던 상황을 거론하며 생존을 위해 한 차원 높은 윤리경영에 나서게 된 배경을 진솔하게 설명했다.
신창재 교보생명 대표이사 겸 이사회 의장은 “금융업은 고객에게 돌려드려야 할 부채가 많은 만큼 남다른 책임의식이 필요하다”라며 “단순히 법과 질서를 잘 지키는 소극적 윤리경영을 넘어 적극적인 윤리경영을 펼치는 것이 가장 전략적인 경영방식”이라고 밝혔다.
신 회장은 또 “적극적 윤리경영은 기업시민으로서 윤리적 책임을 다하면서 업(業)의 본질을 실천해 탁월한 성과를 창출하고, 이해관계자들의 권익과 기업 이익간의 균형을 취하는 것”이라며 “이를 통해 이해관계자들로부터 신뢰를 얻고 함께 성장·발전할 수 있다”라고 강조했다.
신 의장은 기업의 존재 이유에 대해 “사람은 산소가 없으면 살 수 없으나 산소를 위해 살지 않는다”라며 “기업에 이익은 생존을 위한 연료지만 궁극적 목적이 될 수 없다”라고 밝혔다.
이는 기업의 존재 이유가 업의 본질을 실천해 고객에게 가치를 제공함으로써 사회에 기여한다는 의미라는 것이다. 그는 “모든 이해관계자를 경영의 수단이 아닌 상생(Win-Win)의 파트너로 여겨야 하고 이들에게 고르게 가치를 제공해 균형발전을 추구해야 한다”라고 역설했다.
더불어 신 의장은 20여년 교보생명의 윤리경영을 이끌어온 소회도 피력했다. 대주주로서 이사회 의장과 CEO 직무를 겸했던 점이 유리했고 단기이익을 실현하기 힘든 생명보험업 입장에서 장기적 관점으로 윤리경영을 수행하는데 이점이 됐다는 점도 강조했다.
그는 또 “윤리경영을 잘 실천하기 위해선 기업 거버넌스 최상위층의 지지가 선결과제”라며 “대주주와 이사회, 최고경영자 중 누군가 강한 의지를 갖고 윤리경영을 선도하고 이들 모두 윤리경영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신 의장은 “기업이란 사람들의 삶과 환경, 사회에 커다란 영향을 주는 존재”라며 “윤리경영은 기업의 모든 이해관계자에게 도움이 되는 지속 가능하고 성공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만드는 것”이라고 언급했다. 그는 이어 “윤리경영은 힘들고 외로운 길”이라며 “우리 모두 기업의 성공과 윤리가 함께 갈 수 있음을 보여주자”라고 참석자들에게 당부했다.
한편 신창재 교보생명 대표이사 겸 이사회 의장은 윤리경영에 바탕을 둔 인본주의적 이해관계자 경영을 펼치고 있어 호평을 받고 있다. 지난 3월 세계보험협회(IIS)에서 ‘2023 보험 명예의 전당 월계관상’을 받고 신용호 창업주와 함께 부자 기업인이 헌액되는 진기록도 세웠다.
또 지난 2019년에는 ‘대한민국 지속가능경영 최고경영자상’ 첫 수상자로 영예를 안았고 같은 해 세계중소기업학회(ICSB)에서 ‘사람중심 기업가정신 실천 경영자대상’을 받은 바 있다.
[저작권자ⓒ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