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부, 디지털 기초체력 강화…소프트웨어 진흥에 5630억원 투입

이길주 / 기사승인 : 2023-04-21 15:21:05
  • -
  • +
  • 인쇄

[하비엔뉴스 = 이길주 기자] 정부가 디지털 대한민국의 소프트웨어 기초체력 강화를 위해 소프트웨어 진흥 전략 관련 사업에 5630억원의 예산을 투입한다. 또 ‘디지털 100만 인재’를 위해 전문인재 20만명을 양성하는 등 소프트웨어 분야의 국가 경쟁력을 키울 예정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1일 열린 비상경제장관회의에서 디지털 기초 체력 강화와 해외진출 촉진을 위한 소프트웨어 진흥 전략을 발표했다.
 

 소프트웨어 진흥 전략. [사진=과기정통부]

 

소프트웨어 진흥 전략의 주요 내용을 보면, 우선 전 국민의 소프트웨어 역량을 높이고 디지털 혁신을 이끌 고급 전문인재 양성을 위한 기반을 마련한다.

이를 위해 오는 2025년까지 정보과목 시수를 2배 이상 확대하는 등 정보교육 수요에 총력 대응하고 전 국민 소프트웨어 인공지능 기초역량 함양을 지원해 지역과 소득 격차에 관계없이 누구나 누릴 수 있는 보편교육 체계를 마련한다.

 

또 인공지능 및 인공지능융합혁신대학원을 현재 15개에서 2025년까지 22개로, 메타버스 대학원을 현재 2개에서 2026년까지 10개로 각각 확대할 방침이다.

생성 인공지능 확산에 대응해 글로벌 공동연구와 산학협력 등을 통한 초거대 인공지능 고급인재 양성도 내년부터 추진돼 오는 2027년까지 소프트웨어 인공지능 고급 전문인재를 20만명 규모로 양성한다는 계획이다.

소프트웨어의 미래 기술력을 선제적으로 확보하기 위한 투자도 확대돼 오는 2027년까지 선도국 대비 소프트웨어 기술수준을 93%까지 향상시킬 예정이다.

아울러 전력소비 증가와 탄소중립 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해 인공지능 반도체의 저전력화와 경량화 등을 지원하는 특화된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을 추진하고, 향후 모빌리티, 자율행동체 등 다양한 하드웨어의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 로드맵도 연내 마련할 예정이다.

제조, 조선해양, 우주 등 기존 산업 경쟁력 향상을 위한 전략 소프트웨어 개발도 추진하고, 소프트웨어 개발 시부터 안전성과 보안성 확보를 위해 소프트웨어 안전 정밀진단을 확대 추진한다.

이외 국내 오픈소스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현재 운영되는 공개 소프트웨어 포털을 개선해 국내 개발자와 기업들이 손쉽게 정보를 공유하고 협업할 수 있도록 관련 인프라를 제공한다.

오픈소스 활용 시 발생할 수 있는 저작권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라이선스 검증 지원 확대와 함께 오픈소스 전문가 교육을 강화해 국내 기업의 오픈소스 생태계 참여도를 오는 2027년 70% 수준까지 향상시킬 계획이다.

정부는 또 글로벌 시장을 지향하는 강소 소프트웨어 기업 육성과 전단형 수출, 해외진출 촉진 지원체계 마련 등을 통해 소프트웨어 매출 1000억 클럽 기업을 2021년 145개에서 2027년까지 250개 이상 육성한다는 것이 목표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소프트웨어는 디지털 신기술 혁신과 성장을 견인하는 기반으로 기초체력을 튼튼히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디지털 인재양성, 기반기술 개발, 제도 개선 등 주요 정책들을 꼼꼼히 챙겨 디지털 모범 국가로서 대도약 기반을 만들어 나갈 수 있도록 하겠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