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비엔뉴스 = 이지희 기자]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소추안 국회 표결이 오는 7일 예정된 가운데, 국내 정보통신기술(ICT) 업계가 비상대응 체계를 강화하고 있다.
6일 ICT 업계에 따르면, 주요 플랫폼과 통신사들은 탄핵 표결 결과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트래픽 폭증과 사이버 공격과 같은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고, 안정적인 서비스 운영을 위해 시스템 점검과 모니터링을 가동한다고 밝혔다.
![]() |
구글 트렌드 캡처. [사진=연합뉴스] |
지난 3일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이후 네이버와 카카오는 뉴스와 카페 일부 서비스에서 장애를 겪었다. 이때 급증한 트래픽은 과거 지진·대설·태풍 등 재난 상황과 비교해도 사상 최고 수준으로 기록됐다.
이튿날 네이버는 업무연속성계획(BCP)을 가동해 서비스를 복구하고, 카카오 역시 비상대응체제를 즉각 가동해 주요 서비스를 정상화시켰다.
탄핵 표결을 앞두고 양 사는 재발 방지를 위해 트래픽 급증 시 대응할 수 있는 안정화 방안을 추가로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네이버는 비상계엄 선포 당시 상황을 바탕으로 서비스 안정성에 집중하고, 카카오는 그룹 내 컨트롤타워인 CA협의체를 중심으로 트래픽 상황을 예의주시하며 혹시 발생할지 모를 서비스 장애에 대응한다는 계획이다.
국내 이동통신 3사 역시 비상대응 체제를 유지하며 트래픽 폭주 상황에 대비하고 있다.
비상계엄 사태 당시 통신망 자체는 큰 문제가 없었지만, 탄핵 표결 전후 트래픽 급증과 외부 사이버 공격 시도가 발생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KT 관계자는 “통신 트래픽을 모니터링하고 특이사항 발생 시 즉각 조치해 기간통신사업자로서 책임을 수행하겠다”라고 말했다.
또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도 트래픽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며 통신망 안정성 확보에 힘쓰고 있다.
한편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한국인터넷진흥원(KISA)과 협력해 24시간 감시 체제를 한층 강화했다.
지난 4일 오전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은 간부들을 소집해 비상회의를 열고 포털서비스 일시 장애 및 네트워크 통신 장애, 사이버 해킹 등에 대해 면밀하게 대응해달라고 당부했다.
통신 당국은 통신사·플랫폼사와 연락 체계를 긴밀히 유지해 이용자들이 네트워크 서비스를 불편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총력을 기울인다는 방침이다.
[저작권자ⓒ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