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희룡 장관, 은마아파트 찾아 ‘GTX-C 공법’ 안전성 설명

문기환 / 기사승인 : 2022-11-24 13:13:04
  • -
  • +
  • 인쇄

[하비엔=문기환 기자]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은 지난 23일 수도권광역급행철도 C노선(GTX-C) 우선협상대상자인 현대건설과 함께 은마아파트 주민대표들에게 GTX-C 공법의 안전성을 설명하고, 정상적인 사업 추진을 위한 협조를 당부했다.


이날 원 장관은 GTX-C 공법 및 사업의 안전성에 대한 오해로 사업 추진이 어려운 상황에서 사업의 필요성과 시급성, 안전성에 대한 사실관계를 주민들에게 직접 설명했다. 

 

▲ 원희룡 국토부 장관(사진 왼쪽)이 임종일 국가철도공단 부이사장으로부터 현장 상황 설명을 듣고 있다.

원 장관은 “GTX는 수도권 출퇴근 교통난 해소를 위한 국가 핵심사업이고, 특히 GTX-C는 수 년간 착수가 지연되고 있어 수도권의 많은 시민들이 조속한 추진을 염원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GTX는 60m 이상 대심도 터널공사이고, 은마아파트 구간은 발파방식이 아닌 첨단 기술력이 총동원되는 TBM 공법으로 계획돼 있다”며 “GTX는 주택가 뿐만 아니라 한강 하저도 통과하는데, 단순히 지하를 통과한다는 사실만으로 위험하다는 주장은 근거가 없다”고 덧붙였다.

TBM(Tunnel Boring Machine)은 회전 커터에 의해 터널 전단면을 절삭 또는 파쇄해 굴착하는 기계로, 진동 및 소음을 획기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GTX-A 예정노선 가운데 3개 구간과 서울도시철도 노선 가운데 18개 구간 이상에서 주거지 하부를 통과하고 있고, 철도건설 후 상부에 주택을 재건축한 사례도 12곳 이상에 달한다.

원 장관은 “현재 노선은 지난 2014년 예타 때부터 여러 대안을 검토해 선정된 결과이고, 준비된 원안으로 추진하겠다”며 “매일 30만명 이상 시민의 발이 될 GTX-C가 더 이상 미뤄져서는 안 되고, 2023년 착공해 2028년 개통이라는 약속을 반드시 지킬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원 장관은 또 “막연한 불안감을 확산시키며, 국가사업을 방해하고 선동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국토교통부 장관으로서 절대 용납할 수 없다”며 “총 4424세대 가운데 한 세대의 1만분의 1에 해당하는 지분을 가진 분이 앞장서서 전체 사업 뿐만 아니라, 총 4.3조원이 들어가는 국책사업을 좌지우지 하려는 것, 공금을 동원한 불법적 행동을 취하고 있는 것에 대해 행정조사권을 비롯해 국토부가 행사할 수 있는 모든 조치를 취할 것이다”라고 덧붙였다.

원 장관은 특히 근거 없는 반대로 국민 공공의 이익을 침해하는 행위를 멈추고, GTX-C 사업의 정상 추진을 위해 협조해 줄 것을 당부했다.

    [저작권자ⓒ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