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비엔뉴스 = 김성욱 기자] 내년 은행업의 대출 성장세가 둔화하겠지만, 수익성은 올해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하지만 금융산업은 전반적인 투자수익 확대와 조달비용 감소 등으로 실적이 소폭 개선될 것으로 관측됐다.
![]() |
국내은행 대출 규모 및 성장률 추이 [출처=하나금융연구소] |
하나은행 하나금융연구소는 30일 ‘2025년 금융산업 전망’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연구소는 코로나19 이후 성장세를 이어온 은행업의 대출 성장이 내년에는 둔화할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올해 대출 성장을 견인했던 가계와 대기업 부문은 가계대출 관리 지속, 직접금융시장 수요 증가 등으로 소폭 성장에 그칠 것으로 보인다.
수신(예금)은 금리 하락이 본격화하면서 정기예금 증가세가 둔화하는 반면, 저원가성 예금은 투자 대기 자금과 단기자금 수요가 늘어나면서 자금 유입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수영 연구위원은 “순이자마진(NIM) 하락 추세가 지속되고 대출 성장 둔화로 이자 이익이 감소하는 환경에 직면했다”라면서도 “수수료 등 비이자이익 개선, 신용위험 완화에 따른 대손비용 감소 등으로 은행업의 수익성은 올해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증권업과 자산운용업은 채권으로의 자금 유입 등에 따라 수익성이 개선될 것으로 내다봤다.
증권업은 금리 하락에 따라 국내외 주식투자, 채권운용, 회사채 발행여건이 개선되어 실적 회복이 기대되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시장 부진이 지속되면서 완연한 회복에는 시간이 소요될 것이라고 봤다. 자산운용업은 실물대체투자 부진이 지속됨에도 불구하고 금리 하락 기대로 채권형 및 해외 ETF 등 전통적 펀드와 일임자산 중심의 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카드업은 여전채 금리 하락에 따른 조달 비용 부담이 줄면서 수익성이 소폭 개선될 것으로 예상되나, 캐피탈·저축은행·부동산신탁업은 부동산 PF 정리 지연에 따른 부진이 계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생명보험업은 금리 하락에 따른 부채 증가로 보험사 자본 부담이 확대되는 가운데 이를 만회하기 위해 신종자본증권, 후순위채 등 자본성증권 발행 등 자본확충 노력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했다. 손해보험업은 보험서비스계약 마진 확보가 용이한 장기보험 중심으로 성장하는 가운데, 핀테크 기업의 영향력이 확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연구소는 금융업 성장성이 한계에 이르고 가계부채 누증, 부동산 PF 해결 지연 등으로 불확실성이 여전한 상태에서 비용 절감을 위한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인공지능(AI)을 통한 생산성 증대와 금융서비스 혁신이 가속화될 수 있다고 예상했다.
연구소는 밸류업(기업가치 제고) 정책 영향이 기존 금융지주회사와 은행에서 증권사 등으로 확산할 것으로 분석했다. 특히 주주환원 방식에 있어서는 기존의 자사주 매입과 배당뿐 아니라 수익도 적극적으로 확대할 전망이다.
김상진 연구위원은 “정책당국의 밸류업 드라이브로 금융회사는 적극적인 수익성 제고 방안을 요구받을 수 있다”라며 “벤처캐피탈(VC)과 프라이빗에쿼티(PE) 투자, 인수·합병(M&A) 등 노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