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비엔뉴스 = 김성욱 기자] 우리나라 통화정책 방향이 3년여 만에 긴축에서 완화로 돌아섰다. 이는 부진한 경기를 되살리기 위한 선택으로 풀이된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11일 통화정책방향 회의를 갖고 기준금리를 연 3.25%로 0.25%포인트(p) 낮추기로 결정했다.
![]() |
11일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금융통화위원회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지난 2021년 8월 0.25%p 인상하면서 시작된 통화긴축을 3년2개월 만에 마무리하면서 돈을 풀기로 한 것이다. 금리 인하만 놓고 보면 2020년 5월 이후 4년5개월 만이다.
금통위가 기준금리를 낮춘 것은 우리나라 경기와 성장이 부진하기 때문이다. 본격적으로 경기 침체가 시작되기 전에 높은 금리와 물가에 억눌린 민간 소비·투자 등 내수에 숨통을 틔워주는 게 시급하다는 판단으로 해석된다.
실제로 지난 2분기 우리나라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1분기보다 0.2% 뒷걸음쳤다. 분기 기준 역성장은 2022년 4분기(-0.5%) 이후 1년6개월 만이다. 특히 민간 소비가 0.2% 감소했고, 설비투자와 건설투자도 각각 1.2%, 1.7% 축소됐다.
물가로 비교적 안정적인 추세에 접어들었다는 점은 금통위의 금리 인하 부담을 줄일 수 있었다.
9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14.65(2020년 100)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1.6% 올라 2021년 3월(1.9%) 이후 3년6개월 만에 1%대 상승률을 기록했다.
금통위의 기준금리 인하로 대출자들의 이자 부담도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진성준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한은을 통해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한은이 기준금리를 0.25%p 내리고 대출금리 하락 폭도 같다고 가정하면 가계대출 차주의 연간 이자 부담은 3조원가량 줄어든다.
가계대출자 1인당 연간 이자 부담은 평균 약 15만3000원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한편 역대 최대폭인 2.0%p까지 벌어졌던 미국과의 금리차는 연방준비제도가 지난달 빅컷(0.50%p 기준금리 인하)을 단행하면서 1.5%p로 축소돼 원/달러 환율 상승과 외국인 자금 유출 걱정이 줄었다.
하지만 금통위의 이번 기준금리 인하로 양 국간 금리 격차(미국 4.75∼5.00%)는 다시 1.75%p로 벌어졌다.
[저작권자ⓒ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