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BN뉴스 = 이필선 기자]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27일 통화정책방향 회의에서 환율과 집값 상승, 대출 증가 등으로 기준금리를 연 2.50%로 유지했다. 이로써 7·8·10·11월 네 차례 연속 금리가 동결됐다.
![]() |
|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7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본관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최근 원·달러 환율이 7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으로 치솟아 1470원대를 넘나드는 가운데, 금리까지 낮추면 원화 가치는 더 떨어지고 그만큼 환율이 더 오를 위험을 고려한 것으로 해석된다.
아울러 10·15 등 각종 대책의 효과로 수도권 집값 상승세나 가계대출 증가세가 꺾이는지 확인할 시간도 필요하고, 다음 달 9∼10일(현지 시각)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금리 결정도 지켜봐야 하기 때문이다.
앞서 한은 금통위는 작년 10월과 11월 두 차례 연속으로 기준금리를 0.25%p 낮췄다. 올해 상반기에도 네 차례 회의 중 2·5월 두 차례 인하로 완화 기조를 이어갔다.
나아가 금통위는 하반기 들어 환율과 집값 등으로 외환·금융시장이 매우 불안함에 따라 기준금리를 낮출 수 없는 상황으로 진단한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 24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 주간(낮) 거래 종가는 1477.1원으로, 미국 관세 인상 우려가 고조된 지난 4월 9일(1484.1원) 이후 약 7개월 반 만에 최고 기록을 세웠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11월 셋째 주(11월 17일 기준)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 가격은 전주보다 0.20% 높아졌다. 5대 시중은행의 전체 가계대출 잔액은 20일 현재 769조2천738억원으로, 이달 들어 2조6519억원 불었다. 이미 10월 전체 증가 폭(2조5270억원)을 넘어섰다.
[저작권자ⓒ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