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비엔뉴스 = 이지희 기자] LG유플러스는 LG전자-KAIST 6G 연구센터와 차세대 6G 통신 후보 주파수 대역에서 전파의 투과·반사 특성 측정 연구를 진행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6G 통신망의 개발 준비를 위한 기초 연구로, 대표적인 6G 후보 주파수 대역의 특성을 분석하는 데 중점을 뒀다.
![]() |
LG유플러스가 차세대 6G 통신 후보 주파수 대역에서 전파의 투과·반사 특성 측정 연구를 진행했다. [사진=KT] |
이동통신에 필수인 주파수는 국제 사용을 위해 표준화가 이뤄지고 있다.
이에 지난해 국제전기통신연합 세계전파회의(WRC-23)는 한국이 제안한 4.4~4.8㎓, 7.125~8.4㎓, 14.8~15.35㎓ 주파수 대역을 6G 후보 주파수로 채택했고, LG유플러스는 이들 후보 대역 가운데 7~15㎓(Upper-mid)와 140~160㎓(Sub-㎔) 대역을 선정해 실험을 진행했다.
해당 실험은 유리·목재·화강암 등 다양한 건축 자재에 각 주파수 대역의 전파를 쏴 투과와 반사 시 발생하는 손실을 측정하는 방식을 통해 신호 흡수판·주파수별 최적 안테나 활용과 함께 로봇팔로 구성된 자동화 측정 시스템을 개발해 적용했다.
LG유플러스는 이번 연구 결과를 6G 표준 기술 개발과 이동통신 셀 설계 전략에 활용하고 실제 환경을 반영한 실험을 이어간다는 계획이다.
이상헌 LG유플러스 네트워크선행개발 담당은 “이번 연구는 6G 통신망 주요 주파수에 대한 의미있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라며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6G 기술개발의 리더십을 이어가고,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고객의 삶에 새로운 가치를 더하는 데 집중하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오는 20~22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리는 ‘대한민국전파산업대전(KRS 2024)’에서 소개될 예정이다.
[저작권자ⓒ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