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비엔뉴스 = 송현섭 기자] 금융감독원은 지난해 회계기준을 위반한 83개 상장사를 적발해 총 223억5000만원의 과징금을 부과했다고 12일 밝혔다.
회계기준 위반에 따른 과징금 액수는 전년보다 63억8000만원 늘어난 것인데 앞서 금감원은 146개에 달하는 상장사 재무제표 심사·감리를 진행한 결과 83곳의 회계기준 위반을 적발했다.
![]() |
금융감독원이 지난해 회계기준을 위반한 83개 상장사를 적발해 총 223억5000만원의 과징금을 부과했다. 금융감독원 본사 전경 [사진=연합뉴스TV] |
지난해 회계처리기준 위반에 따른 지적률은 56.5%로 나타나 직전연도인 2021년보다 1.9%P 증가했다. 이 가운데 무작위 추출로 진행되는 표본 심사·감리 지적률은 35.7%였고 회계오류를 자진 수정한 업체를 대상으로 벌인 혐의 심사 지적률은 98.0%를 기록했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표본 심사·감리 지적률은 지난 2020년부터 비교적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라면서도 “혐의 심사·감리 관련 지적률은 아직도 높은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라고 말했다.
특히 회계기준 위반의 동기가 고의나 중과실로 확인된 경우는 9곳씩인데 전체의 10.8%를 차지한다는 것이 금감원 관계자의 설명이다. 일단 고의와 중과실 위반을 합친 중대 위반 비율은 2020년 28.2%, 2021년 25.3%에 이어 지난해 21.6%를 기록해 감소세를 나타냈다.
반면 최종 과실로 확인된 비율은 증가세를 타고 있는데 2020년 71.8%, 2021년 74.7%에 이어 지난해 과실로 결정이 난 비율은 78.4%에 달해 매년 늘어나고 있다. 이번 금감원에서 과징금을 부과받은 회사는 총 14곳으로 2021년과 같은 수준이나 부과액은 1년새 63억8000만원 늘었다.
[저작권자ⓒ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