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비엔뉴스 = 송현섭 기자] 삼성물산은 근로자의 작업중지권을 전면 보장한 2년여 기간 국내외 113곳에서 5만3000건의 작업중지권이 발동돼 현장 안전도를 높였다고 14일 밝혔다.
작업중지권은 작업을 수행하는 도중 급박한 위험 우려나 중대 재해 발생시 작업을 중지시킬 수 있는 권리다. 삼성물산은 지난 2021년 3월 근로자의 작업중지권을 보장한 이래 이를 사용한 근로자를 포상하고 협력업체의 작업 중단에 따른 손실까지 보상해오고 있다.
![]() |
삼성물산이 근로자의 작업중지권을 전면 보장한 2년여 기간 국내외 113곳에서 5만3000건의 작업중지권이 발동돼 현장 안전도를 높였다. 삼성물산 공사현장에 작업중지권을 홍보하는 현수막이 걸려있다. [사진=삼성물산] |
삼성물산에 따르면 작업중지권은 충돌과 관련된 경우 23.1%로 가장 많이 행사됐다. 또 작업중지권이 행사된 이유는 ▲전도(뒤집힘) 21.6% ▲추락(떨어짐) 20.3% ▲비래(물체가 날아옴)·낙하 13.3% ▲협착(끼임) 5.2% ▲기타 16.5% 등 순이었다.
특히 현장 근로자들은 작업중지권 행사로 인해 안전에 도움이 된다고 여기고 있다. 삼성물산에서 지난달 현장 근로자 969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 조사결과 응답자의 90%인 871명은 작업중지권으로 현장 안전에 도움이 된다는 답을 내놨다.
또 응답자의 52%인 500명은 실제 작업중지권을 사용한 바 있으며 전체의 95%인 921명이 동료에게 작업중지권 사용을 적극적으로 권유하겠다고 응답했다.
안병철 삼성물산 안전보건실 실장은 “현장 근로자와 협력사에서 자율적인 안전관리 역량을 높일 수 있도록 작업중지권 행사를 전면 보장해오고 있다”라며 “건설업계 전반으로 안전관리 문화가 안착하도록 관련 전문인력 양성과 기술개발을 꾸준하게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삼성물산은 건설안전연구소 신설은 물론 안전상황실 구축·안전보건조직 강화·사고예방 투자확대·협력사 안전지원제도 신설·안전교육체계 정비 등에 나서고 있다. 또 법정 산업안전보건관리비와는 별개로 안전강화비 예산을 추가 편성해 2년간 국내에서 500억원을 집행했다.
이밖에도 삼성물산은 협력사의 안전관리 역략 제고를 위해 모두 141개 협력사를 대상으로 안전관리 컨설팅을 모두 1400회나 진행하는 등 안전한 현장문화 정착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저작권자ⓒ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