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비엔=노이슬 기자] 세계적인 엔터테인먼트 스트리밍 서비스 넷플릭스(Netflix)가 오늘 오후 5시 또 하나의 마스터피스 <미드나이트 스카이>를 공개한다.
<미드나이트 스카이>는 원인 불명의 재앙으로 종말을 맞이한 지구, 북극에 남겨진 과학자 오거스틴과 탐사를 마치고 귀환하던 중 지구와 연락이 끊긴 우주 비행사 설리가 짧은 교신에 성공하며 벌어지는 이야기를 담은 넷플릭스 영화다. 제작진은 공개에 앞서 <미드나이트 스카이> 제작 비하인드를 전했다.
#1 조지 클루니를 신나게 한 마크 L. 스미스의 각본
"이 영화는 꼭 만들어야 된다고 생각했다"
<미드나이트 스카이>는 릴리 브룩스돌턴의 소설 『굿모닝, 미드나이트』가 원작이다. <레버넌트: 죽음에서 돌아온 자>의 공동 각본가 마크 L. 스미스가 비평가들의 호평을 받았던 소설을 영화에 어울리는 풍성한 이야기로 각색했고, 조지 클루니는 각색된 시나리오에 단박에 반해버렸다. 조지 클루니는 "솔직히 각본을 보고 신이 나서 '이 영화는 꼭 만들어야 해'라는 생각이 드는 경우는 무척 드물다. 하지만 마크의 각본은 바로 그런 생각을 들게 했다"며 작품을 처음 봤을 때의 흥분과 기쁨을 털어놨다. 아포칼립스 세계관을 배경으로 한 생존기는 물론 다음 세대를 향한 책임감 그리고 암담한 상황 속에서도 피어나는 인간애와 희망 등 묵직한 메시지와 따뜻한 드라마를 함께 그려낼 <미드나이트 스카이>에 기대가 더해지고 있다.
#2 시각 효과 슈퍼바이저 맷 캐스미어
"살아남은 자들이 겪는 감정의 여정을 보여주고 싶었다"
프로덕션 디자인은 <이티>, <환상 특급>, <쥬만지>, <미션 임파서블: 로그네이션> 등에 참여한 전설적인 프로덕션 디자이너 짐 비슬이 담당했다.
짐 비슬은 인류의 마지막 희망일지도 모르는 우주선의 모양을 위해, 나사의 실제 디자인에 상상력을 더해 날렵하고 회전하는 배턴(baton)처럼 생긴 독특한 에테르호를 만들어 냈다. 짐 비슬은 "궁극적으로 우주선은 은유적인 존재가 된다. 지구와 완전히 똑같다. 에테르호는 가혹한 우주 환경 속에서 돌고 있는 산소 주머니와 마찬가지다. 소중히 하지 않으면 죽는다"며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래비티>, <킹스맨: 시크릿 에이전트> 등을 담당했던 시각 효과 슈퍼바이저 맷 캐스미어도 작품에 참여했다. 그는 짐 비슬과 함께 에테르호 내의 가상현실 구현 장치를 만들어 오랜 시간 우주에서 홀로 떨어져 있는 대원들이 가족과 지인을 그리워하는 마음을 구체화시킬 수 있는 시각적인 장치를 고안해냈다. 맷 캐스미어는 "가상현실 공간은 일종의 안식처 같은 느낌을 보여준다. 태양계에서 마지막으로 살아남은 자들이 겪는 감정의 여정을 보여주고 싶었다"며 SF소재의 영화지만 결국 가족과 휴머니즘에 관한 영화임을 다시 한번 확인 시켜 주었다.
#3 촬영 감독 마르틴 루에
"생존 이야기를 찍고 있었는데 우리 자신이 그 당사자처럼 느껴졌다"
제작진은 오거스틴이 에테르호와 교신을 시도하는 북극의 춥고 고립된 환경을 보다 사실적으로 보여주기 위해 아이슬란드로 향했다. 조지 클루니의 제작사에서 만든 드라마 [아메리칸], [캐치-22] 등을 함께했던 베테랑 촬영 감독 마르틴 루에는 빙하로 닥쳐오는 거센 눈보라를 뚫고 혹독한 자연 환경에 따라 고조되고 변화하는 캐릭터의 감정을 멋지게 담아냈다. 그는 "촬영할 때 진짜 눈보라가 휘몰아쳤다. 생존 이야기를 찍고 있었는데 우리 자신이 생존 이야기의 당사자처럼 느껴지더라"라며 당시를 회상했다.
이외에도 <나이브스 아웃>의 의상 디자이너 제니 이건이 과학적 디자인을 바탕으로 에테르호의 우주복을 창의적으로 재해석했고, <그랜드 부다페스트 호텔>의 작곡가 알렉상드르 데스플라는 텅 빈 자연과 광활한 우주와 어울리는 선율을 작곡하는 등 베테랑 제작진이 함께 마스터피스 <미드나이트 스카이>를 완성해냈다. 조지 클루니는 "존경하고 멋진 분들이다"라는 말로 함께 한 스태프들에게 대한 고마움과 존경을 아끼지 않았다.
다양한 분야의 베테랑 제작진이 뭉쳐 완성한 <미드나이트 스카이>는 바로 오늘 오후 5시에 넷플릭스에서 전 세계 공개된다.
[저작권자ⓒ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