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비엔뉴스 = 이지희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은 25일 ‘2024 디지털 이노베이션 인사이트 테크데이’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AI로 연결된 새로운 세상&우리’라는 주제로 올해 처음 열린 이번 학술회의는 디지털신기술의 미래를 조망하고 기업 참여형 인공지능(AI)·소프트웨어(SW) 인재양성사업의 성과를 공유하는 자리다.
![]() |
이건복 한국MS 상무. [사진=연합뉴스] |
1부에서는 ‘인공지능 시대, 인류가 갖춰야 할 능력’에 대한 조성준 서울대학교 산업공학과 교수의 기조연설을 시작으로 최신 인공지능 기술 동향과 세계적 정보통신기술 대기업의 인공지능 전략이 소개됐다.
조 교수는 “AI가 문제 해결은 잘하지만 문제를 제기하지는 못한다”며 “코딩·AI 등 기술적 역량과 신기술에 적응하는 능력, 문제 해결 능력, 감정을 이해하고 응대하는 능력 등을 함께 길러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이날 행사에서는 과기부의 기업협력형 인공지능·소프트웨어 인재양성사업에 참여 중인 구글과 엔비디아, AWS(아마존웹서비스), 네이버 등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이 인공지능 전략과 함께 인재상에 대해 공유했다.
이건복 한국MS(마이크로소프트) 상무는 ‘생성형 AI 등 글로벌 AI 트렌드와 전망’을, 김동규 칼리버스 대표는 ‘AI 기반 초실감형 메타버스 플랫폼의 미래’를 주제로 각각 발표했다.
이 상무는 “AI의 궁극적인 목적은 수백 페이지의 보고서를 즉각 만들어 낼 수 있는 것에 그치지 않는다”며 “지금은 AI 생산으로 인간에게 주어지는 잉여 시간을 활용해 기존에 없었던 결과물을 만들어 내는 능력이 요구되는 시대다”라고 설명했다.
2부에서는 과기부가 주관하는 ▲ICT이노베이션스퀘어 조성 사업 ▲지역산업 소프트웨어 인재양성 기반조성 ▲대학·기업 협력형 소프트웨어 아카데미 ▲채용연계형 소프트웨어 전문인재양성 사업 등의 성과를 공유했다.
ICT이노베이션스퀘어 조성 사업은 전국 5개 권역(수도권·동남권·동북권·호남권·충청권)의 ICT이노베이션스퀘어를 통해 AI·블록체인·데이터·IoT 등 디지털신기술 교육·개발·테스트·사업화 부문 SW 전문인재 양성을 목표로 마련됐다.
이번 컨퍼런스에서는 ICT이노베이션 조성사업 성과 외에 지역의 SW기업 집적지(대구 수성알파시티) 내 산학관 협력 기반의 현장 중심 교육과 기업과 대학이 공동 설계한 실무 교육 사업 성과발표가 진행됐다.
또 부대행사로 ICT이노베이션스퀘어 입주 기업들이 자사의 제품과 서비스, 주요 교육 및 지원 프로그램을 소개하고 취업 자문을 제공하기 위한 전시관도 함께 운영됐다.
이외 인공지능 면접 역량 평가관과 개인 고유 색상 진단관, 면접 사진 촬영관 등 다양한 취업 지원 프로그램이 포함돼 교육 수료생들이 실질적으로 면접 준비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서비스를 지원했다.
송상훈 과기부 정보통신정책실장은 “디지털 전문인재를 양성하는 것은 대학 등 교육기관과 정부의 노력뿐 아니라 기업의 참여가 필수다”라며 “정부는 앞으로도 기업 참여형 인재양성 교육이 더 발전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