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비엔뉴스 = 박정수 기자] 서울시가 지역과 대학의 동반성장을 위해 향후 5년간 4225억원을 투입한다. 이를 위해 글로벌 산학협력, 해외 우수 인재 유치, 해외 우수대학과의 교류 등을 골자로 한 ‘서울형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이하 라이즈)를 본격 추진한다.
서울시는 24일 한국프레스센터 외신기자클럽에서 ‘제1차 서울혁신대학지원위원회’를 개최하고, 2025년 서울시 라이즈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 등을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 |
24일 오세훈 서울시장이 한국프레센터 외신기자클럽에서 열린 제1차 서울혁신대학지원위원회 회의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서울시] |
라이즈(RISE, Regional Innovation System & Education)는 정부(교육부)가 대학 재정지원사업 예산 집행권을 중앙정부에서 지자체로 이관해 지역과 대학의 동반 성장을 모색하는 사업이다.
서울시장(공동위원장, 당연직)과 대학총장(위촉직), 민간 전문가 등 총 23명으로 구성된 서울혁신대학지원위원회(이하 서울라이즈위원회)는 라이즈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 사업예산 배분, 성과평가 결과에 관한 사항 등을 심의·의결하는 최고 기구다.
이날 열린 회의에는 공동위원장인 오세훈 시장과 서울 소재 11개 대학총장을 비롯해 경제·산업·교육 전문가(6명), 서울시 및 유관기관 관계자(5명) 등 총 23명이 참석한 가운데, 서울형 라이즈(RISE)의 5개년(2025~2029년) 기본계획과 서울라이즈센터 지정 및 센터장 임면 등 사업내용과 조직 구성 등을 심의·의결하고, 대학총장 가운데 1명을 호선을 통해 공동위원장(위촉직, 임기 3년)으로 선출했다.
또 서울라이즈위원회를 통해 대학 발전과 경쟁력 향상을 위한 정책과제 발굴 및 과제 추진을 위한 논의 기능을 더욱 강화하고, 향후 정기회의 외에 수시회의를 개최하기로 뜻을 모았다.
이외 올해 시행계획으로 공정성과 전문성 확보를 위한 사업 공모 및 선정평가와 향후 성과평가 등에 관한 사항이 논의됐고, 서울라이즈센터의 지정(서울연구원)과 센터장 임면을 심의·의결해 사업 전반을 견인해 나갈 조직체계를 완성했다.
시는 이날 심의한 결과를 토대로 오는 3월 초 사업공고 개시, 서울 소재 대학 대상 설명회 개최, 사업선정 심의·평가 등을 진행할 계획이다. 이후 오는 5월부터는 라이즈 사업 수행에 선정된 대학들이 5년간 사업을 본격 추진할 예정이다.
한편 시는 이날 회의에서 서울형 라이즈 기본계획이 심의·의결됨에 따라 올해 765억원(국비 565억, 시비 200억) 등 향후 5년간 총 4225억 원을 투입해 ‘서울형 라이즈’를 추진할 방침이다.
서울형 라이즈 계획은 ▲글로벌 대학 경쟁력 강화 ▲서울 전략산업 기반 강화 ▲지역사회 동반성장 ▲평생·직업교육 강화 ▲대학창업 육성 5대 프로젝트에 12개 단위과제로 구성됐다.
구체적으로는 글로벌 산학협력과 해외 우수 인재 유치, 해외 우수대학과의 교류 등 글로벌 대학 경쟁력 강화하고, 산학협력 생태계 활성화를 통해 서울의 전략산업 기반을 강화한다. 또 서울과 지방대학간 교육격차를 해소하고자 비수도권 대학과의 공유·협력을 확대하는 초광역 사업을 도입한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오늘 출범하는 서울혁신대학지원위원회가 라이즈의 틀을 어떻게 어떤 방향으로 잡느냐에 따라 AI시대 속 대한민국의 미래가 좌우된다”며 “성공적인 라이즈 사업을 위해 위원들께서 지혜를 모아 달라”라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