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부동산·건설업 취약 채무자로 국한된 부분에 불과 해명
[하비엔뉴스 = 송현섭 기자] 새마을금고중앙회는 최근 일부 매체에서 보도한 새마을금고 부실 우려 뉴스가 사실과 다르다며 연체율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고 있다고 28일 밝혔다.
우선 새마을금고중앙회는 모 매체 보도내용에서 거론한 연체율 9%는 부동산업과 건설업에 종사하는 일부 취약 채무자에 대한 대출 연체율이라고 선을 그었다. 이는 새마을금고 전체 채무자에 대한 연체율이 아니라는 것을 지적한 대목이다.
![]() |
새마을금고중앙회가 최근 일부 매체에서 보도한 새마을금고 부실 우려를 부인하고 연체율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고 있다고 밝혔다. 서울 강남구 삼성동 새마을금고중앙회 회관 전경 [사진=새마을금고중앙회] |
새마을금고중앙회 관계자는 “부동산시장 불황으로 관련 연체율이 증가하고 있으나 충분히 관리할 수 있는 수준”이라며 “최근 문제 되는 PF대출과 관련해 새마을금고는 안정적인 ‘관리형 토지신탁’만 취급하고 있고 연체율도 올 1월말 기준 0.71%에 불과하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새마을금고의 PF·공동대출 등은 선순위(우선 상환) 대출로 운용되고 있으며 LTV(담보인정비율) 역시 60% 수준으로 적용하고 있다. 만약 대출 연체시 담보물 공매를 비롯한 매각절차를 통해 적기에 회수할 수 있다는 것이 새마을금고 관계자의 설명이다.
더욱이 새마을금고는 현행 새마을금고법에 따라 다른 금융기관과 같은 수준인 1인당 5000만원 한도로 예금을 보호해준다. 새마을금고의 안정적인 예금 보호는 지난해 말 기준 2조3858억원에 달하는 자체 ‘예금자보호기금’을 보유·운용하고 있다는 점에서도 확인된다.
심지어 금고에서 고객의 예적금을 언제든 지급할 수 있도록 적립하는 ‘상환준비금’ 역시 지난해 말 기준 12조4409억원에 달하고 금고 자체 적립금도 7조2566억원이나 보유하고 있다.
새마을금고중앙회 관계자는 “새마을금고는 1990년대말 IMF 외환위기에서도 공적자금 지원 없이 위기를 극복했고 지금도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라며 “지난해 말 기준 총자산 284조1000억원, 당기순이익 1조5500억원에 자본 규모는 20조8000억원에 이른다”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앞으로도 새마을금고중앙회와 새마을금고는 고객의 자산을 보호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