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년 나눔으로 함께한 허경영의 무료급식소 … "이제는 국가가 지켜야”

이필선 기자 / 기사승인 : 2025-07-16 13:55:13
  • -
  • +
  • 인쇄
- “법보다 중요한 게 배고픔이에요. 우리는 밥을 지켜야 해요”
-권력이 ‘표적’을 세워 개인을 무너뜨릴 때, 결국 피해자는 사회적 약자들

서울 한복판 약 1000명이 이용하는 무료급식소에 또 하루가 저물어간다. 허경영 국가혁명당 명예총재가 영어(囹圄)의 몸이 된 가운데에도 지난 15일 급식소의 불은 꺼지지 않았다.  비가 추적거리는 이날도  무료급식소를 찾은 이들은 그러나 불안하고 불편한 가운데에도 그저 하루 끼니를 해결하고 있다. 

 

 △사진=허경영무료급식소

 

이날 노숙인 오 모 씨(62)는 “이곳이 문 닫는 날, 나는 끝나는 날입니다”라며 속내를 토로하기도 했다. 독거노인 박 모 씨(81)도 “여기 말고 갈 곳이 없다. 문 닫으면 나는 그냥 굶어야 해요”라며 고개를 떨궜다.

 

또 취업준비생 정 모 씨(27)도 “법보다 중요한 게 배고픔이에요. 우리는 밥을 지켜야 해요”라고 말했다.

 

법보다 배고픔 이 더 무섭다는 정 모 씨의 간절한 한마디 말과는 거리가 멀게 검찰은 허 총재의 영성사업을 기망으로 규정해 사기 및 횡령 혐의를 적용해 단죄하려 했으나 이를 지켜보는 종교계는 “법의 폭력”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불교계 스님 G는 “믿음의 영역을 법으로 단죄하는 건 국가의 폭력”이라고 단언했다. 이어 개신교 목사 H는 “검찰의 표적 수사는 나눔마저 짓밟는다”고 비판했다. 천주교 신부 I는 “이번 사건은 한국 사회의 종교 자유가 위협받는 신호탄”이라고 경고했다.

 

반면 허 총재는 법적 절차를 갖춘 사업자였고, 세금도 꼬박꼬박 냈다는 항변 속에 그럼에도 그의 무료급식소는 운영되고 있으나 오늘이라도 문 닫을 위기를 맞고 있다는 것이 무료급식소를 이용하는 이들의 간절한 한끼를 소중함에 감사는 언제까지 이어질지 매일 매일 무료급식소 주변을 기웃거리게 한다고 한 이용자는 잔하기도 했다.      

 

이에 자원봉사자 A씨는 “정치적 싸움 속에서 왜 우리가 피해를 봐야 하나요? 법이 아니라 양심이 필요한 때”라며 절절히 호소하기도 했다.

 

이번 사건은 종교의 자유, 무죄추정 원칙, 사회적 연대의 중요성을 모두 흔들고 있다. 가혹한 정치와 검찰 권력이 ‘표적’을 세워 개인을 무너뜨릴 때, 결국 피해자는 사회적 약자들이다.

 

누구보다 허 총재의 법적 책임 여부를 지켜보는 이들은 매일 무료급식소에서 밥 한 그릇으로 생명을 이어가는 이들이다. 그들의 마지막 목소리는 분명하며 이들의 한결 같은 목소리로 “정치는 몰라도, 밥상만은 지켜주세요.”라는 이들의 외침이 취재진의 가슴을 먹먹하게 한다.

 

 

    [저작권자ⓒ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