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비엔뉴스 = 박정수 기자] 국가철도공단은 철도분야 최초로 운행시간을 분석해 철도통합무선망(LTE-R) 기지국설비(RRU)의 전파출력을 조정하는 ‘에너지 절감 기술’을 안산선 시흥차량기지에서 시범 적용했다고 30일 밝혔다.
철도통합무선망 기지국설비는 전국 선로변에 1㎞ 간격으로 설치되는 무선중계장치로, 철도운영자간 안정적인 무선통신을 제공하기 위해 24시간 운영되고 있다.
![]() |
국가철도공단이 안산선 시흥차량기지에 시범 적용한 ‘에너지 절감 기술’. [자료=국가철도공단] |
따라서 이번 에너지 절감 기술을 통해 여객열차가 운행되지 않는 심야시간대(새벽 1∼5시)에 한해 기지국 안테나 운영방식을 2개의 안테나 사용에서 1개의 안테나 사용인 절전모드로 전환돼 소비전력량을 절감할 수 있다.
실제로 절전모드 전환 시 소비전력량을 측정한 결과 기지국설비 1대당 하루 최대 약 33%(596Wh)까지 절감했고, 이를 철도통합무선망 전 노선에 확대 적용하면 연간 약 1억5000만원의 에너지 비용 절감과 약 674톤의 탄소배출을 줄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 공단 측의 설명이다.
김한영 국가철도공단 이사장은 “이번 ‘에너지 절감 기술’의 시범 적용 결과를 종합적으로 검토해 전국 철도통합무선망에 확대 적용할 예정이다”라며 “철도 중심기반의 친환경·저탄소 철도 구현은 ESG 경영전략 방향 가운데 가장 중요한 환경(E)에 해당하는 것으로, 앞으로도 정부의 정책에 맞춰 에너지 절감기술을 지속적으로 발굴하겠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