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비엔=문기환 기자] 그동안 외국 기술에 의존하던 철도 신호 기술이 완전 국산화된다.
국토교통부는 기존 열차제어시스템에 세계 최초로 철도 전용 무선통신망을 적용한 ‘한국형 열차제어시스템(이하 KTCS-2)’을 19일부터 전라선(익산-여수EXPO역, 180㎞ 구간)에 적용한다고 18일 밝혔다.
![]() |
▲ KTCS-2 시범사업(전라선 익산-여수EXPO간) 구간 약도. |
열차제어시스템은 철도에서 열차의 위치를 확인하고 열차 간격을 확보해 안전한 열차 운행과 제어 기능을 담당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KTCS-2는 열차 위치 확인을 위한 궤도회로 등 일부 지상장치와 무선통신망을 활용하는 한국형 열차제어시스템으로, 2014~2018년 국토부가 국가 R&D과제로 개발한 기술이다.
국토부는 영업실적과 운영기술 확보, 해외시장 진출의 발판을 마련하고자 지난 2018년 7월 전라선을 시범노선으로 선정해 올해 4월까지 모든 검증 절차를 성공적으로 완료했다고 전했다. 시범노선 사업구간은 전라선 익산역-여수EXPO역으로, 사업비는 총 440억원이다.
KTCS-2는 세계 최초로 철도 전용 무선통신망(LTE-R) 4세대 무선통신기술인 LTE를 활용한 철도전용 통신망으로, 영상 등 대용량 데이터까지 전송 가능을 기반으로 개발한 열차제어시스템이다. 특히 해외 신호체계와 호환이 가능하도록 유럽표준규격을 준용했다.
기존 외산 신호시스템(ATC)에 비해 안전성은 약 6배 향상됐고, 선행 열차와의 운행 간격은 최대 23% 이상 감소돼 현재보다 열차 수송력은 1.2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AT는 AF궤도회로를 활용하는 외산 신호시스템으로 경부·호남고속 철도노선에 적용했다.
또 외산자재를 사용하는 외산 신호 시스템에 비해 개량 비용은 약 50% 절감이 가능하고, 연간 유지보수 비용도 최대 50억원 이상 절감될 것으로 보인다.
KTCS-2는 기존 방식과 같이 선행열차의 위치는 지상장치에서 확인하지만, 후행열차의 이동가능한 거리나 제한속도 등 열차운행에 필요한 정보는 LTE-R망을 통해 실시간으로 전송한다.
따라서 KTCS-2가 조기에 상용화되면 열차제어를 위해 선로주변에 설치하는 신호기 등 지상장치는 최소화되고, 실시간으로 운행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좀더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열차를 운행할 수 있다.
아울러 지상장치없이 무선통신만으로 열차위치와 운행정보를 주고받는 차세대 신호체계(KTCS-3)로 나가기 위한 연결고리 역할을 담당하면서 철도 신호시스템 분야의 기술적 자립을 완성할 것으로 기대된다. KTCS-3는 궤도회로 등 지상장치 없이 무선통신망을 활용하는 이동폐색 기반의 열차제어시스템이다.
임종일 국토부 철도안전정책관은 “이번에 처음으로 한국형 열차제어시스템이 영업노선에서 사용되면서 국내 철도기술의 경쟁력은 한 단계 도약할 것이다”라며 “KTCS-2를 노후화된 경부고속선을 시작으로 전국 노선에 점차 확대해 나가는 한편 차세대 한국형 열차제어시스템(KTCS-3)의 성능검증 연구도 조기에 완료해 철도 신호기술을 선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