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무릎 연골연화증, 퇴골과 슬개골 연골면에 염증 및 손상 등의 문제가 생기는 질환"
[HBN뉴스 = 허인희 기자] 헬스나 요가, 필라테스 등 실내에서 다양한 운동을 즐기며 체력과 건강을 관리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실내 운동은 날씨에 구애받지 않고 꾸준히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남녀노소에게 인기가 높다. 하지만 운동의 효과를 제대로 얻기 위해서는 ‘얼마나 많이 하느냐’보다는 ‘어떻게 하느냐’가 더욱 중요하다.
바르지 않은 자세로 동작을 반복하거나, 준비 운동 없이 무리하게 강도를 높이는 행동은
![]() |
△사진=잠실 선수촌병원 김상범 원장 |
잠실 선수촌병원 김상범 원장은 “운동을 할 때 뚜렷한 원인 없이 무릎에 시큰한 통증이 반복된다면 무릎 연골연화증을 의심할 수 있다.
무릎 앞쪽에 있는 동그란 뼈인 슬개골은 무릎을 구부리거나 펼 때 허벅지뼈의 표면을 따라 움직인다. 이때 움직임이 원활하지 못하면 슬개골과 허벅지뼈가 서로 마찰되어 슬개골 안쪽 연골이 물렁해지는 무릎 연골연화증으로 이어지게 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무릎 연골연화증은 대퇴골과 슬개골 연골면에 염증 및 손상 등의 문제가 생기는 질환으로 주로 허벅지 근육이 약화되고 허벅지 앞쪽 대퇴사두근과 뒤쪽 햄스트링 근육의 밸런스가 맞지 않을 때 쉽게 발생하는 편이다. 이 질환은 20~30대의 젊은 층에서 호발하며, 특히 하체 근육량이 적은 사람들에게 발생률이 더욱 높게 나타난다”고 전했다.
김상범 원장은 “무릎 연골연화증 환자는 무릎이 시큰거리고 시리는 듯한 통증을 느끼고, 무릎에서 '딱'하는 소리가 자주 날 수 있다. 또한 무릎을 많이 쓰거나 쪼그리고 앉을 때 무릎 앞쪽에서 통증이 느껴지는 것이 공통된 증상이며, 증상이 심할 경우에는 무릎이 붓기도 한다. 질환이 오래 지속되면 무릎 근육 힘줄에 부하가 많이 걸리면서 무릎 뒤쪽에도 통증이 나타날 수 있다”고 조언했다.
이어 “경증의 환자는 약물 복용 및 주사 요법, 물리치료 등의 비수술적 치료를 통해 호전이 나타난다. 무릎 연골연화증의 가장 안 좋은 케이스는 연골에 구멍이 생긴 것으로 증상이 심할 경우에는 연골을 재생시키는 수술적 치료도 필요할 수 있으니 무릎에 통증이 지속된다면 정확하게 검사를 받고 치료를 진행하는 것이 권장된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