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기에 적절한 대처를 하는 것이 권장"
[하비엔뉴스 = 허인희 기자] 축구나 농구처럼 몸을 활발히 움직이는 스포츠는 스트레스 해소와 체력 유지에 큰 도움이 된다. 그렇지만 빠르게 달리다가 순간적으로 멈추고, 갑자기 방향을 전환하는 등의 동작은 무릎 관절에 큰 부담을 줄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이런 스포츠 활동 중 흔히 발생하는 대표적인 무릎 부상으로 전방십자인대 파열이 꼽힌다. 전
![]() |
△사진=잠실 선수촌병원 김상범 원장 |
전방십자인대 파열의 발생 원인은 접촉성 외상과 비접촉성 외상으로 나뉘는데, 비접촉성 외상으로 인한 파열이 80% 이상을 차지한다. 대부분 점프 후의 불안정한 착지, 급격한 방향 전환, 외반력, 과신전 등과 같은 동작이 포함된다.
잠실 선수촌병원 김상범 원장은 “다리가 과도하게 비틀어지거나 무릎 관절이 잘못된 방향으로 꺾어지는 부상에서 전방십자인대에 파열이 생길 수 있다. 전방십자인대 파열 시에는 무릎에서 ‘뚝’하는 파열음이 들리기도 하며, 무릎에 통증이 느껴지고 무릎이 붓기도 한다. 또한 파열된 조직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해 무릎 관절이 불안정하게 흔들리는 증상도 나타날 수 있다. 증상이 비교적 경미한 편이라면 전방십자인대 파열을 가벼운 무릎 염좌로 오인하고 방치하는 경우도 있는데, 파열된 조직을 오래 방치하면 무릎 관절염이 빠르게 찾아올 수 있으므로 초기에 적절한 대처를 하는 것이 권장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전방십자인대에 경미한 파열만 발생한 환자는 약물이나 주사 요법, 보조기 착용과 같은 비수술적 치료 방식을 진행하여 호전을 기대할 수 있다. 그렇지만 조직의 파열된 범위가 넓거나, 인대가 완전히 끊어진 상태라면 새로운 인대를 이식하는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다. 수술적 치료는 환자의 연령, 성별, 직업 등을 고려해 결정해야 하며, 수술 후에는 원활한 회복을 위한 체계적인 재활 과정을 필수적으로 거쳐야 한다. 초기 재활은 관절 기능을 회복하고 무릎 부종 및 통증 감소를 목표에 둔다. 이후 무릎 근력 강화 및 고유수용감각 운동 등을 거쳐 하체의 안정성을 회복해야 한다”고 전했다.
김상범 원장은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후 일상적인 생활이 가능해지기까지는 약 3개월 정도의 시간이 필요하며, 축구와 같은 운동은 1년 후에 시작하는 것이 권장된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