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기 놓쳐 치아 기능 되살릴 수 없다면 마지막 받을 수 있는 방법은 임플란트
[하비엔뉴스 = 허인희 기자] 치아는 한 번 손상되면 자연적으로 회복되지 않는다. 그래서 치과 진료의 가장 큰 목적은 자연치아를 최대한 보존하는 것이다. 치과에서 받아볼 수 있는 보존치료는 스케일링, 신경치료, 보철치료, 보존치료등이 있다. 특히 보존치료는 충치나 외상, 마모 등의 원인으로 손상된 치아를 최대한 보존하고 기능을 회복하는 치료방법이다.
자연치아를 오래 유지하는 것이 목표이며 초기 충치부터 심한 치아 손상까지 다양한 치료 방
![]() |
△사진= 대구 로이스덕영치과 병원 박준홍 대표원장 |
대구 로이스덕영치과 병원 박준홍 대표원장은 “환자들은 치아가 아프면 바로 임플란트를 해야 한다는 잘못된 인식을 갖고 있는데 사실 치과 입장에서 임플란트는 마지막 단계에서 고려된다. 신경치료나 잇몸치료, 크라운 보철 등을 먼저 시도한 후에도 치아가 더 이상 기능하지 못한다고 판단이 된다면 그때 임플란트를 해도 늦지 않다”고 설명했다.
이어 “임플란트가 늦었다고 판단되는 경우는 치아를 발치하고 오랫동안 방치한 경우이다. 치아가 빠진 후에 아무런 치료 없이 방치하게 되면 잇몸뼈가 서서히 흡수되어 임플란트 치료를 하고 싶어도 바로 심을 수 없는 상태에 놓인다. 이런 경우에는 뼈 이식이나 상악동 거상술 같은 추가 수술이 필요하게 되며 잇몸건강이 나빠진 경우에는 염증이 만성적으로 생길 수 있으니 임플란트 성공률이 낮아질 수 있어 식립보다 잇몸치료를 선행하고 진행해야 한다”고 전했다.
박준홍 원장은 “게다가 치아가 빠진 자리를 오래 비워두게 되면 양 옆의 치아가 빈 공간으로 기울거나 맞물리던 치아가 내려오는 등 전체적인 치열도 무너지기 때문에 이럴 때는 임플란트 치료만으로는 해결이 어렵고 교정치료나 추가 보절치료가 필요할 수 있어 치료기간과 비용이 늘어나게 된다”고 전했다.
이어 “더구나 나이가 있을 경우 당뇨병, 골다공증, 심혈관 질한 등 임플란트 시술 자체를 어렵게 만드는 요소도 있기 때문에 이미 치료가 늦었다고 생각하는 경우도 있는데 현대치과 치료기술은 이런 상황을 극복할 방법을 많이 제시하고 있기 때문에 늦어도 치과를 찾아 적합한 치료를 받는 게 중요하다”고 전했다.
박준홍 원장은 “임플란트가 늦었다고 판단되기 전에 치과 전문의의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 치과 치료는 미룰수록 상황이 복잡해지고 시간과 비용이 늘기 때문에 가급적 빠른 시일 내로 치과를 찾는 게 좋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