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비엔=홍세기 기자] 이커머스 기업 쿠팡이 정부의 디지털 전략 발표에서 인공지능(AI) 등 디지털 혁신을 선도하는 기업으로 조명받았다.
쿠팡은 28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최로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린 ‘대한민국 디지털 도약 전략 발표식’에서 자사의 디지털 역량 활용 사례를 소개했다고 밝혔다.
![]() |
▲ 28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개최한 '대한민국 디지털 도약 전략 발표식'에서 강한승 쿠팡 대표가 자사의 디지털 역량 활용 사례를 소개하고 있다. [사진=쿠팡] |
이날 과기부는 ‘디지털 경제 패권 국가 실현’ 등 디지털 정책 청사진을 발표했고, 민간기업 가운데 쿠팡이 발표자로 선정했다.
강한승 쿠팡 대표는 발표식에서 “쿠팡은 지난 12년간 디지털 혁신을 통해 대한민국 국민의 삶을 변화시켜 왔다”며 “쿠팡의 로켓배송은 인공지능과 자동화 로봇 기술이 집약된 최첨단 물류 인프라 덕분에 가능했다”고 말했다.
실제로 쿠팡은 지난해에만 기술 및 물류 인프라 확보에 7500억원 이상을 투자해 전국 30개 이상 지역에서 100개 이상의 물류 인프라를 운영 중이다.
강 대표는 “디지털이 고용을 줄일 것이라는 통념을 깨고 쿠팡의 디지털기술은 고용과 지역경제 활성화로 이어졌다”며 “코로나로 힘들었던 지난 2년간 쿠팡이 국내에서 가장 많은 일자리를 만들 수 있었던 것도 디지털 혁신이 있어 가능했다”고 말했다.
과거 단순 창고 개념이었던 물류센터는 현재 AI와 자동화 로봇 기술이 접목돼 근무환경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일조하고 있다. 특히 쿠팡의 AI 알고리즘은 제품 배치는 물론 직원들에게 최적의 이동 경로를 제시해 작업자의 노동 강도를 최대 40%까지 낮추기도 했다.
쿠팡의 디지털기술은 또 빅데이터를 통한 수요 예측과 머신러닝을 활용한 재고 관리, 직매입 구조를 통해 생산자와 판매자 모두 더욱 좋은 상품을 만드는 일에만 집중하도록 도움을 주고 있다.
강 대표는 “쿠팡의 디지털 혁신은 국내뿐 아니라 대만과 일본 등 해외로 뻗어 나가고 있다”며 “앞으로도 디지털 혁신을 통해 소비자와 근로자, 소상공인, 지역사회 모두가 골고루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