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BN뉴스 = 이동훈 기자] 삼성전자는 20일 서울 서초구 삼성전자 서울R&D캠퍼스에서 ‘2025 C랩 스타트업 데모데이’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삼성전자가 직접 육성한 C랩 아웃사이드 7기 스타트업들의 성과를 공유하고, 투자 유치와 사업 협력 기회를 확대하기 위해 마련됐다.
![]() |
| ‘2025 C랩 스타트업 데모데이’ 행사 현장. [사진=삼성전자] |
‘C랩과 함께, 한계를 넘어(Rise Beyond, Together)’를 주제로 진행된 이번 행사에는 C랩 아웃사이드 7기 30개 스타트업이 참여해 성과 발표와 패널 토의를 진행했으며 행사장에는 전시 부스도 별도로 마련됐다.
또 뤼튼테크놀로지스 등 5개 졸업사도 참석해 성장 스토리를 공유했다.
현장에는 더불어민주당 이언주 의원, 삼성전자 CR 담당 박승희 사장을 비롯해 C랩 자문위원, 업계 관계자 및 삼성전자 임직원 등 400여 명이 참석했다.
이번 데모데이에는 AI, 디지털헬스, 로봇, ESG 등 미래 유망 분야에서 새로운 시장을 개척 중인 35개 스타트업이 참가했다.
이 중 로봇용 힘·토크 센서 개발 기업 ‘에이딘로보틱스’, 친환경 정수 플랜트 솔루션 ‘지오그리드’ , 로봇 자동설계 AI 솔루션 ‘아이디어오션’ , 탄소배출권 인증을 위한 AI 솔루션 ‘땡스카본’, 나노 섬유 기반 복합 신소재 개발 기업 ‘소프엔티’ 등 10개 사는 지난 1년간의 성과를 직접 발표했다.
이들은 삼성전자와의 협력을 통해 성장한 대표 스타트업으로 주목받았다.
에이딘로보틱스는 삼성전자의 로봇 개발에 핵심 부품을 공동 개발 중이며, 지오그리드는 자체 개발한 친환경 플랜트 솔루션을 삼성전자 수원사업장에 적용하고 있다.
소프엔티는 직접 개발한 나노 섬유 기반 복합 신소재를 삼성전자 제품에 적용하기 위해 협력하고 있다.
C랩 아웃사이드 7기 스타트업 30개 사는 프로그램 기간 총 218명의 신규 인력을 채용해 청년 일자리 창출에 기여했고, 총 345억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하며 성장 잠재력을 입증했다.
특히 행사에서 발표한 C랩 아웃사이드 4기 졸업사인 ‘뤼튼테크놀로지스’는 생성형 AI 플랫폼 스타트업 최초로 누적 투자 1300억원을 유치했고, AI 전환(AI Transformation, AX) 사업에 진출해 노동시간 단축과 생산성 증가 등의 성과를 거뒀다.
또 과기정통부가 주관하는 ‘글로벌 정보통신기술 미래 유니콘 유망 기업’으로 선정되는 등 설립 4년 만에 국내 대표 AI 기업으로 성장해 유니콘 기업의 반열에 한 걸음 다가서고 있다.
[저작권자ⓒ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