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 평양 무인기 '우회 납품' 논란…수사 선상 오르나

이동훈 기자 / 기사승인 : 2025-07-11 14:27:17
  • -
  • +
  • 인쇄
민간업체 드론 100대 계약에 참여…실전 불가 판정에도 납품
박선원 의원, 불법 계약 개입 혐의로 강구영 전 KAI 사장 고발

[하비엔뉴스 = 이동훈 기자]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평양 무인기 침투 사건’과 관련된 드론 납품 과정에 연루되며 논란에 휘말렸다. KAI는 무인기 실물 제작을 담당하지 않았음에도 계약에 참여해 민간업체가 만든 드론을 우회 납품한 정황이 드러나면서 향후 수사 대상에 포함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11일 방산업계에 따르면 KAI는 국방과학연구소와 체결한 계약을 통해 민간 드론업체인 성우엔지니어링이 제작한 소형 무인기 100대를 납품하는 과정에 참여했다.

 

'2025 무인이동체산업엑스포' 한국항공우주산업 부스 [사진=하비엔뉴스]

 

해당 드론은 드론작전사령부에 무상 제공됐으나, 소음과 진동이 과도해 실전 배치가 불가능하다는 시험 결과가 뒤늦게 확인됐다.

일각에선 이 같은 성능 결함이 북한 상공 침투 실패와 연계된 정황이라는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한 근거는 명확히 확인되지 않았다. 방산 면허가 없는 민간업체 A사가 정부와 직접 계약을 체결할 수 없었던 탓에, KAI가 중간 매개체로 계약을 체결했다는 의혹도 있다.


박선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지난 9일 기자회견에서 KAI와 국과연이 편법적인 계약을 체결하고, 납품처를 우회하는 과정에서 불법적 요소가 다수 존재했다고 주장했다.

박 의원은 해당 드론 납품에 투입된 예산은 연구 성과물을 기반으로 한 기술료 수입에서 집행된 것으로 일반적인 방산 장비 조달 절차를 우회한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박 의원은 강구영 전 KAI 사장, 해당 계약에 관여한 국과연과 드론작전사령부 관계자들을 함께 고발할 예정이다.

KAI 측은 이와 관련해 뉴스타파와 가진 인터뷰에서 “무인기 개조 작업은 A사가 담당했으며, KAI는 A사에 기술지원과 무인기 성능 품질 테스트를 위한 비행 시험에 참여했다. 무인기 기체는 최종 국방과학연구소의 검수를 거쳐 납품이 진행됐다”고 해명했다.

    [저작권자ⓒ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