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비엔=송현섭 기자] 금융감독원이 부실화 우려를 낳고 있는 PF(프로젝트 파이낸싱)시장에 대한 본격적인 관리에 나설 전망이다.
9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최근 저축은행의 PF 대출 과정에서 횡령사고가 잇따르고 있는 가운데 모든 저축은행을 대상으로 자체조사를 진행하라고 지시했다.
![]() |
▲ 금융감독원. [사진=연합뉴스] |
실제로 저축은행업계 2위 한국투자저축은행에서 PF대출 담당자가 8억여원을 횡령하는 등 중대형 업체를 막론하고 PF 관련 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다. 앞서 지난해에는 KB저축은행에서 94억원, 모아저축은행은 59억원 등 대형 횡령사고가 발생해 내부통제의 문제점이 지적됐다.
금감원은 우선 PF대출이 사업장의 공정률별로 수 차례 나눠서 집행하는 방식이라는 점에서 저축은행 담당자에 의한 횡령이 발생하기 쉬운 취약한 구조라고 파악하고 있다. 이에 금감원은 횡령사고 부분에 대해서만 개별회사 차원에서 점검해 보고해 달라고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금감원 관계자는 “저축은행의 PF대출 건에서 횡령사고가 자꾸 반복되니 해당 부분에 대해 자체 점검을 진행한 뒤 결과를 이달 중 보고해 달라고 지시했다”며 “영업조직이 아닌 독립된 감사조직을 통해 내부통제 과정 등을 꼼꼼히 체크해 달라고 요구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