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디지털정부학회, 공식 출범…디지털·인공지능 정부 연구 선도

이필선 기자 / 기사승인 : 2025-04-11 17:59:12
  • -
  • +
  • 인쇄
송석현 학회장 "공공행정 지속 가능한 융합 선도하는 연구 중심 학회’ 제시
한국, UN 전자정부 1위, OECD 공공데이터 개방 1위, OECD 디지털정부 1위

[하비엔뉴스 = 이필선 기자] 한국디지털정부학회(이하 학회)는 지난 11일 공식 출범했다고 14일 밝혔다. 

 

학회는 지난 28년 동안 국내 유일의 지역정보화 연구 학회로 자리매김한 한국지역정보화학회의 전통을 계승하며, 국와 공공부문의 디지털 혁신과 인공지능(AI) 혁명을 이끄는 선도적인 융합 플랫폼 학회로 자리잡을 예정이다.

 

 지난 11일 한국디지털정부학회 출범식에 참석한 관계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한국디지털정부학회]

 

이날 출범식에서는 송석현 학회장이 개회사를 맡고, 박덕수 한국지역정보개발원장과 육동일 한국지방행정연구원장이 환영사가 이어졌다.


또 윤건영·김승수·김성회 국회의원, 이용석 행정안전부 디지털정부혁신실장, 황종성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장, 정선용 한국지방재정공제회 이사장, 정운현 한국문화정보원장, 이재용 식품안전정보원장, 윤종인 행정안전부 차관 등이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

송석현 학회장은 ‘디지털 혁신과 공공행정의 지속 가능한 융합을 선도하는 연구 중심 학회’를 비전으로 제시하며, 이를 통해 디지털정부 혁신을 이끌겠다고 강조했다.

학회가 지향하는 3대 전략은 ▲소통과 협력의 플랫폼 구축 공공 디지털 전환 실행 촉진 지속 가능한 디지털정부 혁신 생태계 조성이다.


글로벌 환경에서 AI가 국가 경쟁력과 정부 역량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가운데, 학회는 공공부문 AI 도입 전략을 중요 연구 과제로 삼고 AI 전환 전략에 대한 기획 좌담회를 가졌다.

윤정원 AWS코리아 공공부문 대표가 ‘해외 공공부문 AI의 교훈’을 주제로 기조발제에 나선 좌담회에서는 이삼열 교수(연세대)의 사회로 김영미 교수(상명대)와 황성수 교수(영남대), 성시경 교수(단국대), 송석현 교수(국립경국대), 임춘성 인공지능연구원 부사장 등이 참여해 토론을 펼쳤다.

한국은 UN 전자정부 1위, OECD 공공데이터 개방 1위, OECD 디지털정부 1위를 차지했고, AI 디지털정부는 정부·지방, 민간, 기업간의 상호 소통이 중요하며 협력적 거버넌스를 마련해야 한다.

학회는 이날 좌담회를 시작으로 대한민국 디지털정부 전략의 방향, 전략, 과제 등을 논의하는 다양한 세미나와 간담회를 지속 마련해 한국 AI 디지털정부의 중요 플랫폼으로 기여할 예정이다.

출범식에 이어 진행된 학술대회 특별 세션에서는 전자정부 도입과 발전을 이끌어온 경성대 정충식 교수가 ‘한국 정부의 디지털 거버넌스 변천: 국가정보화(1993년)에서 디지털 정부(2025년)까지’ 발표를 통해 디지털정부를 위한 리더십과 정책조정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정규 세션에서는 ‘역량있는 디지털 정부 구현’과 ‘디지털·AI 전환을 통한 지역의 도약’을 주제로 발표와 토론이 진행됐다.

최한별 군산대 교수는 ‘디지털 정부의 가능성과 한계: 디지털 정부 연구자가 직면한 혁신과 책임’ 발표를 통해 성공적인 디지털정부 구현을 위해서 법·제도적 기반뿐 아니라 정부의 일하는 문화개선과 민관협업의 개방적 생태계 조성이 중요하다고 역설했다.

또 박영민 한국지역정보개발원 센터장은 ‘지방소멸 대응을 위한 지자체 지능정보기술 이용 활성화 방안 연구: 지방자치단체 역량에 대한 실증적 분석’ 발표에서 디지털 기술이 지방소멸을 막는 유용한 대안이 될 수 있다며, 지방의 디지털 예산확보 및 운영역량 개선을 위한 종합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처럼 이번 출범기념식과 춘계학술대회에서는 한국 디지털정부의 가능성, 필요성, 시급성, 발전 방향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가 이뤄졌고, 디지털정부 전환을 위한 학회와 정부의 지속적인 협업 중요성이 강조됐다.

한편 한국디지털정부학회는 디지털 혁신과 공공 행정의 융합을 연구하고, 지속 가능한 디지털정부 구축을 위한 학술적·정책적 기여를 통해 회원들의 연구 협력을 더욱 촉진할 계획이다. 또 국내외 유관 학회 및 정부·공공·민간과의 협력도 한층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한국디지털정부학회 출범기념식 및 춘계학술대회에 대한 더욱 자세한 정보는 학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저작권자ⓒ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