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 허리디스크 수술, 중증 증상 지속된다면 고려해야

허인희 기자 / 기사승인 : 2025-06-16 16:32:50
  • -
  • +
  • 인쇄
-스트레칭 및 허리 근력 강화 운동 꾸준히 하는 것 증상 개선에 도움
-디스크가 제 자리 이탈하면서 주변 신경 압박하는 질환

[하비엔뉴스 = 허인희 기자]  허리통증은 주로 근육통 및 염좌, 근력 약화 등이 원인이 되어 나타난다. 이런 경우 스트레칭 및 허리 근력 강화 운동을 꾸준히 하는 것이 증상 개선에 도움이 된다. 그렇지만 허리통증이 극심한 편이거나 오래 지속되고, 엉덩이나 허벅지에도 통증이 느껴진다면 허리디스크의 발병을 의심하고 정확히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권장된다. 

 △사진=잠실 선수촌병원 신경외과 이동엽 원장

잠실 선수촌병원 신경외과 이동엽 원장은 “허리통증의 원인이 근육통이라면 병변 부위를 손가락으로 꾹 눌렀을 때 통증이 악화된다. 반면에 허리디스크 환자는 아픈 곳을 손가락으로 눌러도 통증이 나타나지 않고 오히려 시원한 느낌을 받을 수 있다. 또한 기침을 할 때 허리가 심하게 울리기도 하며, 엉덩이 및 다리에 통증, 저림 증상이 동반되기도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허리디스크는 척추뼈마디 사이에 자리한 디스크가 제 자리를 이탈하면서 주변 신경을 압박하는 질환이다. 유전적 요인 외에도 적절하지 못한 운동이나 부상, 바르지 못한 자세, 허리의 과도한 사용 등이 발병 원인이 될 수 있다”고 전했다.

 

이동엽 원장은 “경증의 환자는 비수술적 치료를 진행하여 호전을 기대한다. 약물치료 및 물리치료, 운동요법 등의 치료를 진행할 수 있으며, 증상이 심한 환자들은 신경박리시술과 같은 치료도 적용이 가능하다. 신경박리시술은 비수술 치료 방식 중 하나로써 신경 주위의 유착을 박리하고 노폐물을 세척하는 방식으로 국소 수면마취 하에 약 10분 정도 소요된다. 시술 후 1시간이 지나면 걷는 것도 가능하다”고 전했다.

 

이어 “허리디스크 파열로 통증이 심각하여 무통주사를 맞았는데도 통증이 전혀 나아지지 않고, 통증으로 인해 극심한 고통이 계속되는 경우에도 수술적 치료가 고려될 수 있으며, 특히 마미총증후군(소대변 장애)이 나타난 경우에는 반드시 초기에 진단하고 빠르게 수술을 해야 한다. 수술의 골든 타임을 놓치게 되면 치명적인 소대변 장애가 발생하고 후유증이 남기 때문이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