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호 독립운영, 국내 소비자 데이터 분리 조건
[HBN뉴스 = 김혜연 기자] 공정거래위원회가 18일 신세계그룹의 지마켓(G마켓·옥션)과 중국 알리바바그룹의 알리익스프레스코리아 동맹을 조건부 승인하면서 양사 합작법인이 출범한다.
![]() |
사진=각 사 |
다만 지마켓의 국내 사업 관련 각종 데이터와 개인정보의 중국 유출 우려가 크다. 이런 가운데 공정위는 지마켓과 알리익스프레스를 상호 독립적으로 운영하고 국내 소비자 데이터를 기술적으로 분리하는 한편 국내 온라인 해외직구 시장에서 상대방의 소비자 데이터 이용을 금지하는 조건으로 합작법인 설립을 승인했다.
지마켓과 알리익스프레스코리아 합작법인은 소비자와 중소 셀러의 선택권과 혜택을 강화해 국내 온라인 시장을 사실상 양강 구도로 재편한 쿠팡과 네이버에 도전장을 내민다. 신세계의 한국 유통시장 노하우와 알리바바의 글로벌 네트워크를 합쳐 시너지를 내겠다는 계획이다. 앞으로 한국 이커머스 시장이 본격적으로 '삼파전'에 돌입하게 됐다.
양측은 합작법인 조직 구성과 이사회 개최, 사업 계획 수립 등을 위한 실무 작업에 즉각 돌입했고 정리 되는대로 고객과 셀러(판매자)들에게 비전을 발표할 계획이다.
지마켓과 알리익스프레스코리아는 한국 신세계그룹과 중국 알리바바인터내셔널이 5대5로 출자해 설립한 합작법인(그랜드오푸스홀딩) 자회사로 편입돼 '한 지붕 두 가족' 구조로 사업한다.
지마켓과 알리 동맹은 국내 온라인 쇼핑 시장의 소수 대형 플랫폼 중심 불균형을 깨는 것과 K상품의 해외 시장 진출 양쪽에 무게를 둔다. 합작법인은 셀러의 역량과 고객 만족 모두 높이는 '독보적인 상생 플랫폼'을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신세계그룹 측은 "알리익스프레스 상품을 지마켓 플랫폼을 통해 판매하는 계획이 현재로서는 없지만 다양한 시너지 창출 전략을 고민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합작법인은 전국에 '쿠세권'(로켓배송 가능 지역)을 구축한 쿠팡, 최근 컬리 손을 잡고 신선식품 새벽배송을 시작한 네이버(NAVER)와 본격적으로 경쟁에 돌입할 것으로 보인다.
리테일 분석 서비스 와이즈앱·리테일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국내 월간 활성 이용자 수(MAU)는 쿠팡이 3422만명으로 압도적 1위를 차지한다.
합작법인의 이용자 수는 알리익스프레스 920만명, 지마켓 668만명, 옥션 266만명을 더하면 1854만명으로 쿠팡의 절반이 넘는다. 네이버플러스 스토어의 MAU는 431만명이다.
[저작권자ⓒ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