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비엔뉴스 = 홍세기 기자] IBK투자증권이 ‘리바운드 앤 리차지’ 캠페인을 통해 비영업부서 직원들까지 영업에 뛰어들게 하는 전 직원 영업사원화 정책을 추진하면서 금융업계가 들썩이고 있다. 표면적으로는 공정한 인센티브 제도 도입이라는 회사 측 해명과 구시대적 실적 압박이라는 업계 비판이 정면충돌하고 있다.
4일 금융권에 따르면, 해당 캠페인은 비영업부서 직원들에게까지 직급별로 자산유치 목표를 설정한 것이 핵심 쟁점이다.
![]() |
IBK투자증권 본사 전경 [사진=IBK투자증권] |
복수의 매체 보도에서 지점 등 영업부서에는 5개월간 순영업수익 1235억원, 비영업부서에는 1200억원의 자산유치 목표가 할당된 것으로 알려졌다.
구체적으로 비영업부서의 부장급 이상은 10억원, 차장급 7억원, 과장급 5억원, 대리급 3억원, 선임주임 이하는 1억원의 자산유치 기준이 적용됐다.
금융투자업계에서는 이러한 접근을 “과거에나 있던 구시대적 관행”이라며 강하게 비판하고 있다.
이러한 우려는 과거 증권업계 사례에서도 확인된다. 지난 2013년 S증권이 유사한 상황에서 본사 비영업부서 일부 과장급 이상 직원들에게 1억원 이상의 자산 고객 유치를 독려했던 사례가 있었으며, 당시에도 업계에서는 ‘구태연한 옛사고에서 벗어나지 못한 시대착오적 행위’라는 비판을 받았다.
이에 대해 IBK투자증권 측은 사실관계가 왜곡됐다고 반박하고 있다.
IBK투자증권 관계자는 “영업부서는 일정 단계를 달성하면 인센티브를 주는 포상제도가 있는데, 비영업부서에는 그런 제도가 없었기 때문에 공정성 차원에서 기준점을 만든 것이다”라고 설명했다.
특히 그는 “이를 달성하지 못한다고 해서 불이익을 주는 것은 없다”며 캠페인 불참 시 승진에서 배제된다는 일각의 주장에 대해서도 “전혀 사실이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IBK투자증권 측은 이번 캠페인이 강제성을 띠는 실적 압박이 아닌, 비영업부서 직원들에게도 동기부여와 포상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인센티브 제도라는 입장이다.
하지만 최근 금융권에서 횡령과 불법 대출 등 내부통제 실패 사례가 잇따르면서 금융당국의 감시가 강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IBK투자증권의 비영업부서 영업 독려는 당국의 정책 방향과 상반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어 논란의 불씨를 키웠다.
아울러 증권사의 성과 중심 보상 시스템도 이러한 문제의 근본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IBK투자증권은 성과 중심의 보상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으며, 실적이 좋은 해에는 1인당 수천만원의 인센티브가 지급되기도 한다.
이러한 구조에서 비영업부서 직원들이 상대적 박탈감을 느낄 수 있다는 점은 회사 측 해명에 일정 부분 설득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IBK투자증권의 이번 캠페인은 실적 개선에 대한 압박과 공정한 인센티브 제도 구축 사이의 딜레마를 보여주는 사례로 보인다.
회사 측이 주장하는 대로 “달성하지 못해도 불이익이 없는 인센티브 제도”라면 비판의 여지가 줄어들 수 있지만, 업계에서는 여전히 실질적인 압박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