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측 "해킹에 뚫릴 수 없다, 수사에 적극 협조"
[HBN뉴스 = 이동훈 기자] KT 통신망을 이용하는 가입자들을 겨냥한 소액결제 피해가 일파만파 확산될 기미를 보이면서 SK텔레콤의 선제적 대응과 극명하게 대비되는 KT의 늦장 행보가 빈축을 사고 있다. 경찰 수사와는 별개로 피해 규모가 빠르게 불어나는 가운데, 초기 대응 부실과 책임 회피성 태도까지 겹치며 김영섭 KT 대표의 공식 사과 필요성이 한층 커지고 있다.
경기남부경찰청 사이버수사대에 따르면 지난달 27일부터 이달 9일 오후 6시까지 접수된 피해 신고는 총 124건, 피해액은 약 8060만 원으로 집계됐다. 불과 나흘 만에 51건이 늘어나며 피해 범위는 눈덩이처럼 커지고 있다.
![]() |
KT 대리점. [사진=연합뉴스] |
피해는 경기 광명(73건·4730만 원), 서울 금천(45건·2850만 원), 부천(6건 480만 원)을 중심으로 발생했지만, 인천 부평·서울 영등포·과천 등지에서도 유사 피해 신고가 이어지며 수도권 전역으로 확산하는 양상이다.
피해자 다수는 KT 또는 KT망을 사용하는 알뜰폰 요금제 가입자인 것으로 드러났다. 경찰은 KT 전산망 자체의 취약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각 지역에서 발생한 사건을 병합해 수사를 진행 중이다.
그러나 논란을 키운 것은 KT의 초기 대응이다. 경찰은 지난 1~2일 피해 사실을 KT 측에 통보했지만, KT는 “해킹 가능성은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때문에 KT가 사안을 축소하거나 소극적으로 대응해 피해를 키웠다는 비판이 거세다.
이는 경쟁사인 SKT와 KT의 위기 대응 방식이 극명히 갈린 사례로 남을 가능성이 크다.
SKT는 내부 이상거래를 자체적으로 탐지한 뒤 금융보안원과 당국에 즉시 자진 신고했다. 이어 유영상 대표가 직접 사과문을 발표하고 피해 고객 보호에 나섰다.
KT는 본지와의 통화에서도 “현재 경찰 수사가 진행 중이며, 회사는 수사에 적극 협조하고 있다”면서 “아직 원인과 피해 규모가 명확히 규명되지 않은 상황임을 양해해 달라”고 전했다.
그러나 이미 악화된 여론은 KT의 태도를 책임 회피로 해석하는 분위기로 바뀌고 있다. “수사 협조”라는 입장만 반복하는 것은 고객 불안 해소에 충분하지 않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이다.
업계 전문가는 “같은 통신사 이슈임에도 SKT가 선제적 대응을 통해 고객 신뢰를 지키려 노력하는 반면, KT는 초기 대응이 다소 늦어 오히려 리스크를 키우는 모양새”라며 우려를 표했다.
[저작권자ⓒ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