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BN뉴스 = 이동훈 기자] 현대자동차와 한국GM 노동조합이 잇따라 부분 파업에 들어가면서 국내 자동차 산업에 비상이 걸렸다. 7년 만에 파업에 나선 현대차 노조와 3일째 부분 파업 중인 한국GM 노조가 사측과의 교섭에서 합의점을 찾지 못하면서 9월 생산 차질은 물론 연간 판매 목표 달성에도 먹구름이 드리웠다.
3일 자동차업계에 따르면 현대차 노조는 9월 3일부터 5일까지 사흘간 2시간~4시간씩 부분 파업에 돌입했다. 기본급 15만 원 인상, 성과급 상향, 정년 연장, 주 4.5일제 도입 등을 요구했지만, 사측과의 임금·단체협상(임단협) 교섭이 결렬되면서다. 이번 파업은 2018년 이후 7년 만으로, 업계에서는 “현대차 파업이 한국GM에 이어 기아·르노코리아 등으로 확산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보고 있다.
![]() |
현대차 노조 임단협 출정식 모습 [사진=연합뉴스] |
한국GM 역시 9월 1일부터 사흘간 하루 4시간씩 부분 파업을 진행 중이다. 노조는 직영 정비소 폐쇄 철회와 고용 안정 보장을 요구하고 있다. 사측은 “재무구조 개선 없이는 추가 고용 보장이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하면서 노사 간 갈등이 장기화할 조짐을 보인다.
현대차와 한국GM의 동시 파업은 국내 완성차 생산에 직접적인 타격을 준다. 업계 추산에 따르면 현대차의 시간당 생산 손실액은 약 200억~300억 원 규모에 달한다. 한국GM까지 포함하면 하루 기준 수천억 원대의 손실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문제는 자동차 산업이 국내 시장보다 수출 비중이 높은 산업 구조라는 점이다. 현대차와 기아, 한국GM 등 국내 자동차 업체의 연간 완성차 생산량 중 60% 이상이 해외로 향한다. 그러나 이번 파업으로 9월 생산 목표 달성이 불가능해지면, 미국·유럽 시장 점유율 하락으로 직결될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시각이다.
이번 파업 사태는 단순한 임단협 교착을 넘어 산업 전반의 노사 관계 구조 재편과도 맞닿아 있다. 지난 7월 시행된 ‘노란봉투법’(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개정안)이 파업권을 대폭 강화하면서 노조의 교섭력이 커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완성차 업체의 파업은 단순히 자동차 제조 공장에 국한되지 않는다. 현대차·기아·한국GM의 협력업체 수는 약 1만2천 곳으로, 납품 지연과 원자재 재고 부담이 가중되면 중소 부품사들의 경영난으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울산, 광주, 군산 등 주요 공장이 위치한 지역경제에도 부정적 파급 효과가 불가피하다.
전문가들은 “현대차와 한국GM의 협상 결과가 다른 완성차·부품사 노조에도 일종의 ‘가이드라인’ 역할을 할 것”이라고 내다본다. 실제로 일부 자동차 부품업체와 물류기업 노조에서도 파업 돌입 가능성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저작권자ⓒ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