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H투자 "사안 중대성을 엄중히 인식"
[HBN뉴스 = 이동훈 기자] NH투자증권이 올해 들어 두 차례 압수수색을 받으며 내부통제 시스템의 신뢰성에 균열이 생겼다. 공개매수 관련 미공개 정보 유출 혐의로 고위 임원이 수사를 받는 가운데, 수사팀의 향후 행보에 업계의 시선이 쏠리고 있다.
지난 10월 28일 주가조작 근절 합동대응단은 서울 여의도 NH투자증권 본사 임원실과 관련 부서를 압수수색했다. 합동대응단은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한국거래소가 통합 구성한 자본시장 감독 조직이다.
![]() |
| NH투자증권 압수수색을 마치고 나오는 합동대응단 [사진=연합뉴스] |
금융권에 따르면 NH투자증권 기업금융(IB) 부문 고위 임원 A씨는 최근 2년 동안 회사가 주관한 공개매수 11개 종목의 관련 정보를 지인에게 반복적으로 전달한 혐의를 받고 있다. 정보를 전달받은 이들은 공개매수 발표 전에 주식을 매수하고, 공표 후 주가가 상승하면 매도하는 방식으로 약 20억 원의 부당이익을 챙긴 것으로 드러났다.
이들은 친인척 명의의 차명계좌를 이용해 거래했고, 계좌를 수시로 바꿔가며 금융당국의 감시망을 피한 정황도 포착됐다.
금융·수사당국은 이번 사건이 단순한 개인 일탈로 보기 어렵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합동대응단은 A씨와 그 가족, 영업본부 직원 등 4명을 혐의선상에 올려 자금 흐름을 추적 중이다.
업계는 합동대응단이 이번 수사를 계기로 증권사 IB 부문 전반의 미공개정보 관리 실태를 들여다볼 가능성을 보고 있다. 자본시장 감독기능이 통합된 만큼, 향후 조사 범위가 타 증권사로 확대되거나 공개매수 제도 전반의 제도 개선 논의로 이어질 가능성도 제기된다.
NH투자증권은 “이번 사안의 중대성을 엄중히 인식하고 있다”며 “CEO(최고경영자)는 해외 출장 중인 해당 임직원에게 즉시 복귀를 명해 적극적으로 조사에 응하고 소상히 소명하도록 지시했다”고 밝혔다.
회사측은 이어 “(회사 차원에서) 사실관계를 면밀히 규명하는 데 적극 협조하고 추후 조사 결과에 따라 적절한 후속 조치를 취할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