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현대제철, 중국 철강 감산에 '숨통'기대... 보복 관세 리스크 변수

이동훈 기자 / 기사승인 : 2025-07-07 11:22:16
  • -
  • +
  • 인쇄
중국 정부, 올해 5천만톤 규모 철강 생산 감축 예상
한국 반덤핑 조치 따른 중국 측 보복 관세 여부 촉각

[하비엔뉴스 = 이동훈 기자] 중국이 철강 감산에 속도를 내면서 아시아 철강 시장의 수급 구조에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수입 의존도가 높은 만큼 공급 감소에 따른 수급 개선 수혜가 클 것으로 예상되며, 국내 대표 철강사들인 포스코와 현대제철의 실적 반등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7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NDRC)는 올 3월 열린 양회에서 철강 생산 감축을 제안했다. 이러한 조치는 글로벌 무역 현장에서 마찰을 일으키는 과잉 생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후 감산과 관련된 중국 현지 보도가 잇따르고 있다.  

 

 광양제철소 근로자가 폭염 속에서도 용광로를 점검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실제로 5월 중국의 조강 생산량은 감소세로 돌아섰다. 시장에서는 올해 중국의 감산량이 최대 5천만 톤에 이를 것으로 보고 있다. 한국은 베트남에 이어 중국산 철강의 주요 수입국으로, 지난해 기준 수입량은 약 1천만 톤에 달했다.

이에 따라 한국 철강사들은 중국 수출물량 축소에 따른 공급 타이트 효과를 직격으로 받을 전망이다. 한국은 아직 중국산 철강에 대한 반덤핑 규제가 본격화되지 않아 추가적인 수입 감소 여지가 남아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현재 중국산 열연강판(약 164만 톤)과 후판(약 138만 톤), 일본산 열연(약 87만 톤)에 대한 반덤핑 조사에 착수한 상태다. 후판은 4월부터 잠정 관세가 부과 중이며, 열연은 8월 말 예비 결과가 나올 예정이다.

반덤핑 조치가 본격화될 경우 수입 철강 가격이 오르고, 국내산과의 가격 격차가 좁혀지면서 국내 철강사의 판매단가 인상 여력이 생길 수 있다. 후판은 이미 반덤핑 조치 이후 국내 가격이 상승하고 있으며, 열연 역시 같은 흐름이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철강업계 한 관계자는 “중국은 전 세계 철강 생산량 가운데 55% 정도를 생산하고 있다. 생산량이 줄면 시장 정상화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그러나 수요 측면에서는 여전히 불확실성이 존재한다. 한국의 건축 착공 면적은 5월 기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2% 감소했으며, 중국도 신규 착공이 23% 역성장을 기록했다. 국내에서는 신정부 출범 이후 신도시 건설 및 SOC 투자 확대 논의가 진행 중이어서 중장기적 수요 반등 가능성이 제기된다.

단 한국 정부의 철강 반덤핑 조치에 따른 중국의 보복 관세 가능성이 잠재적 리스크로 지적된다. 중국 정부가 무역 보복에 나설 경우, 국내 철강 수출에 타격을 줄 수 있다는 우려다.

최용현 KB증권 애널리스트는 포스코·현대제철을 중국 철강 감산의 최대 수혜주로 지목하면서도 “한국의 철강 반덤핑 조치에 따른 보복 관세”를 우려했다.

그는 이어 “중국을 향한 반덤핑 조치는 국내뿐만 아니라 많은 국가에서 이미 시행된 상황이므로 한국만을 대상으로 한 보복 관세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전망했다.

    [저작권자ⓒ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