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BN뉴스 = 김재훈 기자] 한국의 최대 철강 수출 시장인 유럽연합(EU)이 수입 쿼터(할당량) 초과 철강제품에 대해 5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혀 직격탄이 불가피할 전마이다.
역내 산업 보호를 명분 삼아 철강 수입 장벽을 대폭 높이겠다는 게 EU의 취지다.
![]() |
평택항에 쌓여 있는 철강 제품. [사진=연합뉴스] |
EU 집행위원회는 7일(현지시간) 유럽 철강업계 보호 대책을 담은 규정안을 공식 발표했다. EU 집행위는 모든 수입산 철강 제품에 대한 연간 무관세 수입쿼터를 최대 1830만톤으로 제한한다. 지난해 수입쿼터 3053만톤에 비해 대폭 축소한 것이어서 한국을 포함한 국가별 수입쿼터도 대폭 삭감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수입쿼터 초과 물량에 부과되는 관세율은 기존 25%에서 50%로 배로 인상된다.
이번 조치는 유럽경제지역(EEA) 국가인 노르웨이, 아이슬란드, 리히텐슈타인을 제외한 모든 제3국에 적용된다. 국가별 수입쿼터는 추후 무역 상대들과의 개별 협상을 통해 결정된다.
EU 집행위는 FTA(자유무역협정) 체결국도 적용 대상에서 예외는 없다는 입장이다.
EU는 한국산 철강의 최대 수출시장이어서 이번 조치 시행 시 한국 철강기업들에게 타격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모든 품목에 50% 관세를 부과하는 미국과 달리 EU는 수입쿼터제도가 있었지만 이마저 대폭 축소하겠다는 입장이기 때문이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작년 한국의 EU 철강 수출액은 44억8000만 달러(약 6조2836억원)로 최대 시장이다. 두번째는 미국으로 지난해 43억4700만 달러를 수출했다.
이에 사전에 수입쿼터 협상 전략을 철저히 세우는 등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저작권자ⓒ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