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결 유력..."압박 카드" vs "전면파업" 갈림길
[하비엔뉴스 = 이동훈 기자] 현대자동차 노동조합의 파업 찬반투표 결과에 업계의 시선이 쏠리고 있다. 투표 가결 가능성이 높게 점쳐지면서 2018년 이후 7년 만의 전면파업 가능성이 본격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25일 현대자동차 등에 따르면 현대차 노조(4만2000명)는 올해 임금 및 단체협약 난항으로 쟁의행위 (파업) 찬반투표를 진행한다. 결과는 중앙노동위원회 조정중지여부를 거쳐 오늘 밤늦게 나올 전망이다.
![]() |
현대차 노조 임단협 출정식 [사진=연합뉴스] |
노조는 올해 임금 및 단체협약(임단협) 교섭에서 사측과의 입장 차이를 좁히지 못한 채 17차례 협상 끝에 결렬을 선언했다. 이에 따라 합법적 파업권 확보를 위한 절차에 돌입했으며, 내부적으로도 강경 모드에 돌입한 분위기다.
노조가 제시한 올해 요구안은 최근 몇 년 사이보다 대폭 강화됐다. ▲기본급 14만1300원 인상(호봉승급분 제외) ▲순이익의 30% 성과급 지급 ▲정년 60세에서 64세로 연장 ▲주 4.5일제 도입 ▲상여금 통상임금 반영 비율을 750%→900%로 상향 등이 핵심이다.
특히 정년 연장과 주4.5일제는 임금 문제를 넘어 자동차업계 전반의 인력 구조와 근로 환경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업계에서는 “산업 표준을 흔들 수 있는 초강경 요구안”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반면 사측은 ▲전기차 전환 비용 확대 ▲글로벌 경기 둔화와 환율 리스크 ▲원자재 가격 상승 등을 이유로 강력한 반대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통상 현대차 노조의 파업 찬반투표는 높은 지지율로 가결된 전례가 많아 이번 투표도 통과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 우세하다. 다만 파업권 확보가 곧바로 전면파업으로 이어지지는 않는다. 단기적으로는 노조가 파업권을 협상 압박 수단으로 활용할 공산이 크지만, 내부 강경파의 목소리가 커지는 만큼 이르면 8월 말~9월 초 부분파업은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협상이 최종 결렬될 경우 7년 만의 전면파업이 현실화될 것이란 예상이 지배적이다.
현대차 노조의 파업 여부는 단순히 노사 갈등 차원을 넘어 국내 자동차 산업과 경제 전반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관측된다.
현대차 국내 공장의 월평균 생산량은 약 30만 대. 전면파업으로 생산이 멈출 경우 한 달에 수천억 원에서 조 단위의 매출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게다가 현대차와 거래하는 협력업체는 약 5000여 곳에 달한다. 파업이 장기화할 경우 1차 협력사에 이어 2차·3차 하청업체까지 유동성 위기에 빠질 수 있다.
현대차 국내 생산 차량의 60% 이상이 해외 시장으로 수출된다. 수출 차질은 무역수지 악화 및 원화 약세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무엇보다 사태가 장기화하면 철강·화학·물류 등 관련 산업 전반으로 충격이 확산될 가능성도 높다.
업계 관계자는 “현대차 노조의 이번 요구안은 단순한 임금 인상 수준을 넘어 업계 전반의 근로 조건을 갈아엎을 강력한 신호”라면서 “전기차 전환기라는 산업 구조 변화와 맞물리며 경영 리스크가 커진 상황에서 노사 모두 정교한 협상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