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비엔=문기환 기자]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은 지난 27일 한국철도협회 회의실에서 ‘제1회 철도운영기관 통신분야 기술협의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지난 6월 발족된 철도운영기관 통신분야 기술협의회는 철도통신기술의 연구개발 및 적용, 효율적 관리를 위해 관련 기관 전문가들이 모인 단체다.
![]() |
▲ 지난 27일 제1회 철도운영기관 통신분야 기술협의회에 참여한 관련 기관 인사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
협의회는 철도연을 비롯해 한국철도공사, 서울교통공사, 인천교통공사, 대전교통공사, 대구도시철도공사, 부산교통공사, 광주도시철도공사 총 8개 기관이 참여해 철도 통신인프라 구축과 운영 및 유지관리 기술 공유, 철도통신 기술기준 및 표준 제·개정 등을 공동 진행할 계획이다.
이번 첫 회의에는 8개 참여 기관의 통신 전문가 20여명이 참석해 철도통신 분야의 현안을 공유하고, 해결 방안과 향후 기술협의회 운영 방안을 모색했다. 또 최근 철도통신 분야 연구개발 동향과 성과를 소개하고, 철도 노선에 적용 가능한 지를 논의했다.
이날 고경준 철도연 선임연구원은 ‘철도연의 철도통신 연구’를 주제로 열차자율주행제어를 위한 통신기술과 이음5G(5G 특화망) 기술을 소개했다. 또 오랜 과제였던 철도 통합망 간섭 문제를 해결할 기지국 공유기술 및 하이퍼튜브 등 차세대 교통시스템에 필요한 6G 철도 적용기술을 설명했다.
이어 최현영 철도연 선임연구원은 무선통신을 기반으로 열차의 제어와 운영 관리가 이뤄지면서 더욱 중요해진 ‘철도 보안인증체계’를 주제로 철도 보안인증을 위한 연구개발 결과를 소개하고, 실제 철도 노선에 적용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철도운영기관 통신분야 기술협의회 위원장으로 선임된 정락교 철도연 스마트전기신호본부장은 “철도통신은 더 빠르고 안전한 철도를 위한 기반 기술로, 철도통신기술협의회가 철도통신 기술의 효율화와 철도의 디지털 전환을 이끌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