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항공, 수익구조 다각화로 부가매출 ‘증가’

문기환 / 기사승인 : 2022-12-26 15:16:52
  • -
  • +
  • 인쇄

[하비엔=문기환 기자] 제주항공이 부가매출 확대를 통해 안정적인 수익구조를 만들어 가고 있다. 부가매출은 항공사들이 부가서비스, 즉 위탁 수하물과 화물, 사전주문기내식, 에어카페, 기내 면세, 비즈라이트와 같은 특별 좌석 예약 서비스 등을 통해 창출하는 매출이다. 


최근 각 항공사들은 국제유가 및 환율 등에 큰 영향을 받는 항공권 판매 수익 등의 여객매출보다 비교적 외부 환경에 영향을 덜 받는 부가매출을 통한 수익구조 다각화를 위해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추세다. 

 

▲ 제주항공 위캔플라이 홍보 이미지.

제주항공 역시 국제선 기내식 서비스 유료화를 비롯해 사전 좌석 지정제, 위탁 수하물 구매 등 항공권 가격에 포함돼 일괄적으로 제공됐던 서비스들을 항공권 가격을 낮추는 대신 별도의 부가서비스 상품으로 기획 판매함으로써 부가매출을 창출할 수 있는 구조를 선제적으로 도입했다. 

 

그 결과 지난 2014년 전체 매출 대비 약 4.9% 수준이었던 부가매출 비중이 지난해에는 약 14% 수준까지 증가했다.

코로나19로 국제선 운항이 어려워 여객매출이 저조했던 시기에도 삼성전자·CU·GS리테일·HY·CJ고메 등 여러 기업들과 함께 기획상품을 출시하기도 했다. 또 제주항공에서만 구매할 수 있는 기획상품과 여행용품, 제주특산품 등을 구매할 수 있는 여행전문 온라인 쇼핑몰 ‘제이샵’을 오픈해 새로운 수익을 창출한 것도 주효했다.


제주항공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해 부가매출 창출을 위한 준비에 공을 들이고 있다. 항공편 운항 확대에 따른 여객수요 증가를 대비해 비건함박스테이크 등 사전주문기내식 신메뉴 출시, 에어카페 메뉴 확대, 기내 면세점 리뉴얼, 자전거 캐링백 서비스 도입 등의 서비스 확대에 나섰다.

지난 6월에는 국적 LCC 가운데 처음으로 화물기를 도입해 인천-하노이/도쿄(나리타)/옌타이 노선을 운항하며 올 3분기에만 2932톤의 화물을 수송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배 이상 성장한 수치다.

제주항공의 이같은 수익구조 다각화 노력은 여객 유치를 위한 경쟁이 치열해지는 상황에서 지속 가능한 성장 기반 마련을 위한 전략이다.

화물을 포함한 비여객 부문 매출 확대는 LCC 뿐만 아니라 전 세계 FSC 등 모든 항공사들의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각 항공사 연례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유나이티드항공은 전체 매출 대비 부가매출 비중이 2020년 약 23%, 2021년 약 18% 수준이며, 유럽의 라이언에어의 경우 2020년 약 35%, 2021년 약 37%에 달한다.

제주항공의 부가매출 비중은 같은 기간 각각 약 16%와 약 14%인 점을 감안하면 성장 가능성은 여전히 충분한 상황이다.

제주항공 관계자는 “비여객 부문의 매출 확대는 전 세계 모든 항공사들의 중요한 과제다”라며 “고객에게 다가갈 수 있는 다양한 부가서비스와 상품을 개발해 수익구조 다각화를 통한 지속가능한 성장 기반을 마련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